호림박물관
-
청동 종 (靑銅 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1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6. 4. 3. 07:15
청동 종 (靑銅 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19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19호 명칭 청동 종 (靑銅 鐘) 분류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수량 1点 지정일 2007.01.11 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신림동, 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설명 현재 준비중입니다. 2016.04.03 이 범종은 고려시대의 청동범종(靑銅梵鐘)으로, 종신(鐘身)에 새겨진 명문으로 볼 때 13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높이가 25cm, 종구(鐘口)의 넓이가 15cm로 고려후기에 유행한, 선종사찰에서 사용 하던 범종으로 추정된다. 용뉴(龍鈕)는 한 발을 앞으로 내밀고, 한 발은 뒤로 짚고 있는 단룡(單龍)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입을 벌리고 앞을 향해 나아가는..
-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瓢形 注子)-보물 제154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2. 10:45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瓢形 注子) -보물 제1540호 종목 보물 제1540호 명칭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瓢形 注子)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수량 1점 지정일 2007.12.31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고려시대(12세기)의 조형적 특징을 보이는 표주박 형태의 청자 주자(注子)이다. 표주박 형태의 병에 참외같은 골 주름 여덟 줄을 깎아내고, 물대는 둥글고 넓은 박 잎을 대롱처럼 말아 붙여 만들고 손잡이는 박 넝쿨을 꼬아 붙인 것 같이 만들었다. 뚜껑 역시 작은 박 잎을 엎어 놓은 형태처럼 만들었으며 밑바닥도 굽을 별도로 깎아내지 않아 마치 표주박의 밑둥을 연상되는 ..
-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靑磁 陰刻蓮花文 八角長頸甁)-보물 제145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2. 10:00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靑磁 陰刻蓮花文 八角長頸甁) -보물 제1454호 종목 보물 제1454호 명칭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靑磁 陰刻蓮花文 八角長頸甁)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수량 1점 지정일 2006.01.17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이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은 몸통과 목을 면깍기 하여 8개의 면으로 만든 팔각병이다. 유태의 상태는 매우 우수한 편이어서 엷은 녹색을 띠는 회청색을 띠고 있다. 유층에 기포가 많고 약간 불투명하며 광택이 은은하고 차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몸통의 8면에는 활짝 핀 연화절지문(蓮花折枝文)을 음각하고 굽 주위에는 양각의 연판문대(蓮瓣文帶..
-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靑磁 象嵌銅彩蓮花唐草龍文 甁)-보물 제102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1. 19:21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靑磁 象嵌銅彩蓮花唐草龍文 甁) -보물 제1022호 종목 보물 제1022호 명칭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靑磁 象嵌銅彩蓮花唐草龍文 甁)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수량 1점 지정일 1990.05.21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고려 후기에 만들어진 높이 38.3㎝, 아가리 지름 6.9㎝, 밑지름 12㎝의 청자병으로, 길게 뻗어 세워진 목과 약간 벌어진 아가리를 가지고 있다. 어깨로부터 서서히 벌어지다 몸통의 하부에서 최대로 벌어지고, 다시 좁혀진다. 몸통의 가장 큰 배 부분까지는 양감이 없이 직선에 가까운 곡선으로 이어지다가, 몸통 아래에서 급하게 좁아..
-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靑磁 象嵌'德泉'銘 蓮花楊柳文 梅甁)-보물 제145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1. 18:32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靑磁 象嵌'德泉'銘 蓮花楊柳文 梅甁) -보물 제1452호 종목 보물 제1452호 명칭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靑磁 象嵌'德泉'銘 蓮花楊柳文 梅甁)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수량 1점 지정일 2006.01.17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덕천(德泉)」명(銘) 청자는 여러 예가 있지만 이 매병의 경우와 같이 입체적인 기형에 문양 및 유태 등 상태가 양호한 것은 드문 편이다. 특히 변형된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와 파초연화문, 유문(柳文)의 형태가 고려상감청자의 기본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서 15세기 분청사기와 구분되는 예로 볼 수 있다..
-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有蓋壺)-보물 제106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1. 17:38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有蓋壺) -보물 제1068호 종목 보물 제1068호 명칭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有蓋壺)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분청 수량 1점(유개) 지정일 1991.01.25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가 쇠퇴하면서 백자와는 다른 형태, 무늬, 구도을 가지고 나타난 매우 독특한 자기이다. 그 명칭은 백토로 분장한 회청사기, 즉 ‘분청회청사기’라는 말에서 유래되었고 ‘분청’이라고도 한다. 총 높이 25.2㎝, 높이 22.6㎝, 아가리 지름 8.4㎝, 밑지름 10.2㎝의 이 병은 두께가..
-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보물 제154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1. 16:58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 -보물 제1541호 종목 보물 제1541호 명칭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분청 수량 1개 지정일 2007.12.31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양감이 좋은 15세기의 전형적인 분청사기 형태에 특징적인 상감문양이 장식된 병이다. 어깨와 아랫도리에는 흰 선상감으로 연판문대를 돌리고, 그 사이 동체 중심에는 모란과 버드나무를 엇갈려 4곳에 배치하였다. 앞·뒷면에는 각기 모양이 다르게 모란을 큼직하게 장식하고 그 사이에는 늘어진 버드나무를 흰 선상감으로 도안화시켜 베풀었다. 특히 강하..
-
청자 유개항아리 (靑磁 有蓋壺)-보물 제107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1. 16:31
청자 유개항아리 (靑磁 有蓋壺) -보물 제1071호 종목 보물 제1071호 명칭 청자 유개항아리 (靑磁 有蓋壺)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청자 수량 1개 지정일 1991.01.25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조선시대 만들어진 청자 항아리로 높이 23.4㎝, 아가리 지름 10.8㎝, 밑지름 12.3㎝이다. 항아리는 아가리부분을 둥글게 말아 붙였으며, 어깨 부위가 급격히 벌어졌다가 서서히 좁아진 형태이다. 높이에 비해 몸통이 넓어 양감이 느껴진다. 뚜껑은 꽃봉오리 모양의 꼭지에 낮게 층진 모양을 하고 있고, 아가리부분이 도톰하게 되어있다. 전면에 청자유약을 발랐는데, 고르지 않아 색이 약간 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