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청동정병(三陟 興田里寺址 出土 靑銅淨甁)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1:18
□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청동정병(三陟 興田里寺址 出土 靑銅淨甁) ㅇ 지정현황 : 비지정 ㅇ 명 칭 : 삼척 흥전리사지 출토 청동정병(三陟 興田里寺址 出土 靑銅淨甁) ㅇ 소유자(관리자) : 국유(국립춘천박물관) ㅇ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우석로 70, 국립춘천박물관 ㅇ 수 량 : 2점 ㅇ 규 격 : ① (춘118000) 기고 33.9cm, 구경 0.93cm, 저경 7.3cm ② (춘118001) 기고 34.8cm, 구경 0.96cm, 저경 7.5cm ㅇ 재 질 : 청동 ㅇ 형 식 : 군지형 정병 ㅇ 조성연대 : 통일신라시대 ㅇ 사 유 정병은 깨끗한 물을 담는 수병(水甁)으로 불교에서 사용된 기물이다. 수행하는 승려가 지니..
-
강화 전등사 명경대(江華 傳燈寺 明鏡臺)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1:16
□ 강화 전등사 명경대(江華 傳燈寺 明鏡臺) ㅇ 지정현황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2002.12.23. 지정) ㅇ 명 칭 : 강화 전등사 명경대(江華 傳燈寺 明鏡臺) ㅇ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전등사 ㅇ 소 재 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전등사 ㅇ 수 량 : 1쌍(2점) ㅇ 규 격 : ① (청사자) 전체높이 110.3cm, 최대폭 62.5cm ② (황사자) 전체높이 109.4cm, 최대폭 65.5cm ㅇ 재 질 : 목조에 채색, 동 ㅇ 조성연대 : 1627년(조선 인조 5) ㅇ 제 작 자 : 밀영(密英), 천기(天琦), 봉생(奉生/鳳生) ㅇ 사 유 명경은 불성(佛性)이 비치는 거울로 사찰에서 주로 대웅전에..
-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昌原 聖住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1:13
□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昌原 聖住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ㅇ 지정현황 :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2010.3.11. 지정) ㅇ 명 칭 :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昌原 聖住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ㅇ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성주사 ㅇ 소 재 지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곰절길 191, 성주사 ㅇ 수 량 : 존상 31구, 발원문 1점 ㅇ 규 격 : 표 참조 ㅇ 재 질 : 표 참조 ㅇ 형 식 : 지장보살삼존과 시왕 권속으로 구성된 명부존상 ㅇ 조성연대 : ① 존 상-1681년(조선 숙종 7) ② 복장전적-고려시대~조선시대..
-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金銅觀音・地藏菩薩二尊坐像 및 腹藏遺物)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1:10
□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金銅觀音・地藏菩薩二尊坐像 및 腹藏遺物) ㅇ 지정현황 : 비지정 ㅇ 명 칭 :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 (陜川 海印寺 金銅觀音・地藏菩薩二尊坐像 및 腹藏遺物) ㅇ 소유자(관리자) : 대한불교조계종 해인사 ㅇ 소 재 지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ㅇ 수 량 : 존상 2구, 복장유물 252점 ㅇ 규 격 : 표 참조 ㅇ 재 질 : 표 참조 ㅇ 형 식 : 보살이존좌상 ㅇ 조성연대 : ① 존 상-1351년(고려 충정왕 3) ② 복장유물-고려시대 ㅇ 사 유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
-
벽역신방(辟疫神方)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1:06
□ 벽역신방(辟疫神方) ㅇ 지정현황 : 비지정 ㅇ 명 칭 : 벽역신방(辟疫神方) ㅇ 소유자(관리자) : 연세대학교의료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동은의학박물관) ㅇ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동은의학박물관 ㅇ 수 량 : 1책 ㅇ 규 격 : 33.4×19.8cm(半郭 24.3×15.8cm) ㅇ 재 질 : 종이 ㅇ 판 종 : 목활자본(木活字本) ㅇ 형 식 : 선장(線裝) ㅇ 조성연대 : 1613년(조선 광해군 5) ㅇ 사 유 『벽역신방』은 1613년 왕실의 의원으로 활동한 허준(許浚)이 국왕의 명령으로 편찬한 의학 전문 서적이다. 광해군대에 유행했던 당독역(성홍열로 추정)에 대한 허준의 경험, 이론적 견해, 치료법 등이 담겨 있다. ..
-
예기집설 권1~2(禮記集說 卷一~二)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1:02
□ 예기집설 권1~2(禮記集說 卷一~二) ㅇ 지정현황 : 비지정 ㅇ 명 칭 : 예기집설 권1~2(禮記集說 卷一~二) ㅇ 소유자(관리자) : 한○○ ㅇ 소 재 지 : 경기도 안성시 ○○면 ○○○길 ○○○-○○ ㅇ 수 량 : 2권 1책 ㅇ 규 격 : 24.8×16.2cm(半郭 18.2×12.6cm) ㅇ 재 질 : 종이 ㅇ 판 종 : 목판본(木版本) ㅇ 형 식 : 선장(線裝) ㅇ 조성연대 : 1391년(고려 공양왕 3) 판각, 고려 말~조선 초기 인쇄 ㅇ 사 유 『예기집설』은 고대 중국의 예에 대한 기록과 해설을 정리한 『예기』에 원의 주자학자인 진호가 의론과 주석을 단 것이다. 『예기』는 삼국시대 초기에 이미 수용되어 이후 과거의 필수 과목이 될 정도로 ..
-
박제가 고본 북학의(朴齊家 稿本 北學議)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0:52
□ 박제가 고본 북학의(朴齊家 稿本 北學議) ㅇ 지정현황 : 비지정 ㅇ 명 칭 : 박제가 고본 북학의(朴齊家 稿本 北學議) ㅇ 소유자(관리자) : 공유(수원화성박물관) ㅇ 소 재 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1, 수원화성박물관 ㅇ 수 량 : 2편 2책 ㅇ 규 격 : 22.3×13.8cm(半郭 16.4×10.9cm) ㅇ 재 질 : 종이 ㅇ 판 종 : 필사본 ㅇ 형 식 : 선장(線裝) ㅇ 조성연대 : 조선 후기(18세기 후반) ㅇ 사 유 『북학의』는 박제가(1750~1805년)가 1778년 청의 북경을 다녀온 후, 국가 제도와 정책 등 사회와 경제의 전 분야에 대한 개혁과 개방의 방법론을 소개하고 실천법을 제시한 국가의 발전과 부흥에 관한 지침서..
-
대혜보각선사서 (大慧普覺禪師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5. 7. 5. 10:47
약칭대혜서(大慧書), 대혜서장(大慧書狀), 서장(書狀)문헌/고서편찬 시기조선 전기간행 시기1573년(선조 6)저자대혜 종고(大慧宗杲)편자혜연(慧然)권책수1책권수제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더보기•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접기/펼치기내용 요약음성 재생『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1573년(선조 6) 평안도 묘향산 보윤암에서 개판하여 간행한 목판본 불서이다. 이 불서는 송나라 대혜 종고(大慧宗杲, 1089∼1163) 선사가 올바른 선(禪) 수행의 가르침을 준 수행서로 목판본 1책이다. 조선시대 전국의 주요 사찰에서 대략 30종이 간행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데, 그중 천개사(天開寺) 도서는 불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