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 (求禮 華嚴寺 올벚나무)-천연기념물 제38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4. 12. 16:16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 (求禮 華嚴寺 올벚나무) -천연기념물 제38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38호 명칭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 (求禮 華嚴寺 올벚나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종교 수량/면적 175㎡(보호구역) 지정(등록)일 1962.12.03 소재지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20-1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화엄사 관리자( 관리단체) 구례군수 설명 올벚나무는 황해도, 지리산, 보길도 및 제주도에서 자란다.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다른 벚나무보다 일찍 꽃이 피기 때문에 올벚나무라고 부른다. 화엄사의 올벚나무는 나이가 약 3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2m, 뿌리부분 둘레 4.42m이다. 병자호란(1636) 이후 인조(재위 1623∼1649)는 오랑캐에게 짓밟혔던 기억을 되새기며 전쟁에..
-
하동송림 (河東松林)-천연기념물 제445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4. 9. 09:42
하동송림 (河東松林) -천연기념물 제445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445호 명칭 하동송림 (河東松林)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면적 약900여주/50,331㎡(지정구역), 21,874㎡(보호구역) 지정(등록)일 2005.02.18 소재지 경남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443-10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공유,사유 관리자( 관리단체) 하동군수 설명 하동송림은 조선 영조 21년(1745) 당시 도호부사였던 전천상이 강바람과 모래바람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 심었던 소나무숲으로, 모두 750그루의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노송의 나무껍질은 거북이 등과 같이 갈라져 있어 옛날 장군들이 입었던 철갑옷을 연상케 한다. 숲 안에는 활을 쏘는 장소인 하상정(河上亭)이 있어 궁사들의 단련장이 ..
-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 (高敞 文殊寺 단풍나무 숲)-천연기념물 제463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4. 1. 23:21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 (高敞 文殊寺)-천연기념물 제463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463호 명칭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 (高敞 文殊寺 단풍나무 숲)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면적 120,660㎡(지정구역) 지정(등록)일 2005.09.09 소재지 전북 고창군 고수면 은사리 산 190-1 외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공유,사유 관리자( 관리단체) 고창군수 설명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숲은 문수산 입구에서부터 중턱에 자리한 문수사 입구까지의 진입도로 약 80m 좌우측 일대에 수령 100년에서 400년으로 추정되는 단풍나무 500여그루가 자생하고 있는 숲이다. 이 숲의 단풍나무 크기는 직경 30~80㎝, 수고 10~15m정도이며, 특히 흉고둘레 2m 이상 2.96m에 이르는 ..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Forest of Common Camellias at Seonunsa Temple, Gochang-천연기념물 제184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4. 1. 18:07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84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184호 명칭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종교 수량/면적 45,092㎡(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67.02.11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68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고창군 관리자( 관리단체) 고창군수 설명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 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春栢), 추백(秋栢), 동백(冬栢)으로 부른다.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백제 위덕왕 24년(577) 선운사..
-
고창 삼인리 송악 (高敞 三仁里 송악)-Songak of Samin-ri, Gochang- 천연기념물 제367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4. 1. 16:04
고창 삼인리 송악 (高敞 三仁里)-천연기념물 제367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367호 명칭 고창 삼인리 송악 (高敞 三仁里 송악)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분포학 수량/면적 1,631㎡(보호구역) 지정(등록)일 1991.11.27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17-1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고창군 관리자( 관리단체) 고창군수 설명 송악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 덩굴식물로 줄기에서 뿌리가 나와 암석 또는 다른 나무 위에 붙어 자란다. 잎은 광택이 있는 진한 녹색이고 꽃은 10월에 녹색으로 피며, 열매는 다음해 5월에 둥글고 검게 익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안 및 섬지방의 숲속에서 주로 자라고 있다. 고창 삼인리 송악은 선운사 입구 개울 건너편 절벽 아래쪽에 뿌리를 박고 절벽을..
-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 (高敞 禪雲寺 兜率庵 長沙松)-천연기념물 제354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3. 31. 21:20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高敞 禪雲寺 兜率庵 長沙松)- 천연기념물 제354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354호 명칭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 (高敞 禪雲寺 兜率庵 長沙松)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생활 수량/면적 1 주 495㎡(보호구역) 지정(등록)일 1988.04.30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도솔길 294 (삼인리)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고창군 관리자( 관리단체) 고창군수 설명 장사송은 고창 선운사에서 도솔암을 올라가는 길가에 있는 진흥굴 바로 앞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의 나이는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23m, 가슴높이의 둘레는 3.07m이다. 높이 3m 정도에서 줄기가 크게 세 가지로 갈라져 있고, 그 위에서 다시 여러 갈래로 갈라져 부챗살처럼 퍼져 있다. 고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