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旌善 淨岩寺 熱目魚 棲息地)-천연기념물 제73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3. 5. 23:19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旌善 淨岩寺 熱目魚 棲息地)-천연기념물 제73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73호 명칭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旌善 淨岩寺 熱目魚 棲息地)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분포학 수량/면적 2,219,523㎡(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62.12.03 소재지 강원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산213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정선군 관리자(관리단체) 정선군 설명 열목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20℃ 이하의 차가운 물에서 사는 민물고기이다. 몸의 바탕색은 황갈색이며 머리·몸통·등에는 자갈색의 무늬가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고 배쪽은 흰색에 가깝다. 알을 낳을 때는 온몸이 짙은 홍색으로 변하며, 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 부분에는 무지개 빛의 광택을 내어 아름답다. 물 속에 사는 곤충이..
-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襄陽 오색리 오색약수) -천연기념물 제529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3. 5. 00:41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襄陽 오색리 오색약수) -천연기념물 제529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529호 명칭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수량/면적 400㎡ 지정(등록)일 2011.01.13 소재지 강원 양양군 서면 오색리 산 1-20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양양군수 설명 토양에 흡수된 물이 나트륨과 철분을 용해한 후 기반암 절리를 통해 솟아나고 있으며, 약수가 대개 암설층에서 솟는데 반해 기반암에서 솟아나는 희소성이 있다. 나트륨 함량이 높아 특이한 맛과 색을 지니며, 1500년경 오색석사 사찰의 스님이 발견한 이후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문화적인 가치가 있다. 약수가 나오는 곳이 한 곳은 아니고 오색약수 [五色藥水]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에 있는 약수터.설악산 ..
-
양구 개느삼 자생지 (楊口 개느삼 自生地)-천연기념물 제372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3. 3. 17:01
양구 개느삼 자생지 (楊口 개느삼 自生地)-천연기념물 제372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372호 명칭 양구 개느삼 자생지 (楊口 개느삼 自生地)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분포학 수량/면적 13,200㎡(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92.12.23 소재지 강원 양구군 양구읍한전리산54,동면임당리산148,149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양구군 관리자( 관리단체) 양구군 설명 개느삼은 평안남도, 함경남도, 강원도 양구 이북의 추운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가 굵으며 키는 1m 정도로 자라고 넓은 잎은 봄에 돋았다가 가을에 떨어진다. 꽃은 황금색으로 이른 봄에 피며 줄기의 끝부분이 약간 꼬부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개느삼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일 뿐만 아니라, 양구 비봉공원 대암산 기슭에 자리..
-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雪嶽山 天然保護區域)-Seoraksan Mountain Natural Reserve-천연기념물 제171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3. 2. 23:19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雪嶽山 天然保護區域)-천연기념물 제171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171호 명칭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雪嶽山 天然保護區域) 분류 자연유산 / 천연보호구역/ 문화및자연결합성/ 경관및과학성 수량/면적 173,595,499㎡(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65.11.05 소재지 강원 속초시 인제군, 양양군, 고성군 일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공유,사유 관리자( 관리단체) 강원도지사, 신흥사 주지 설명 설악산 천연보호구역은 강원도의 인제군, 양양군, 속초시에 걸쳐 넓게 펼쳐져 있다. ‘설악’이란 이름은 주봉인 대청봉(1,708m)이 1년중 5∼6개월 동안 눈에 덮여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연평균 기온이 10℃를 넘지 않는 저온지대에 속하며, 연 강우량은 내설악이 1,000㎜ 정도,..
-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甕津 白翎島 南浦里 콩돌海岸)-천연기념물 제392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2. 28. 00:11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甕津 白翎島 南浦里 콩돌海岸)-천연기념물 제392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392호 명칭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甕津 白翎島 南浦里 콩돌海岸)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수량/면적 2,805,344㎡(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97.12.30 소재지 인천 옹진군 백령면 남포리 해안일원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 관리단체) 옹진군수 설명 백령도 남포리의 콩돌해안은 남포리의 오금포 남쪽 해안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해안의 길이는 800m, 폭은 30m이다. 콩돌해안의 둥근 자갈들은 백령도 지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규암이 부서져 해안 파도에 의하여 닳기를 거듭해 콩과 같이 작은 모양으로 만들어진 잔자갈들로 콩돌이라고 한다. 콩돌의 색깔..
-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甕津 白翎島 사곶 砂濱(天然飛行場))-천연기념물 제391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2. 27. 23:57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甕津 白翎島 사곶 砂濱(天然飛行場))-천연기념물 제391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391호 명칭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甕津 白翎島 사곶 砂濱(天然飛行場))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수량/면적 2,566,000㎡(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97.12.30 소재지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413-2외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 관리단체) 옹진군수 설명 사빈(沙濱)이란 모래가 평평하고 넓게 퇴적되어 만들어진 곳을 말한다. 백령도 사곶 사빈은 백령도 용기포 부두의 남서쪽과 남동쪽의 해안을 따라 자리잡고 있다. 언뜻 보면 모래로 이루어진 듯 하나 사실은 규암가루가 두껍게 쌓여 이루어진 해안으로 썰물 때면 길이 2㎞, 폭 ..
-
장성 백양사 고불매 (長城 白羊寺 古佛梅)-천연기념물 제486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2. 26. 21:20
장성 백양사 고불매 (長城 白羊寺 古佛梅)-천연기념물 제486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486호 명칭 장성 백양사 고불매 (長城 白羊寺 古佛梅)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수량/면적 314㎡(보호구역) 지정(등록)일 2007.10.08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약수리)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장성군 관리자( 관리단체) 장성군수 설명 이 매화나무 고목은 매년 3월 말경에 진분홍빛 꽃을 피우는 홍매(紅梅)종류로서, 꽃 색깔이 아름답고 향기가 은은하여 산사의 정취를 돋운다. 아래부터 셋으로 갈라진 줄기 뻗음은 고목의 품위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모양도 깔끔하여 매화 원래의 기품이 살아있다. 대체로 1700년경부터 스님들은 이곳에서 북쪽으로 100m쯤 떨어진 옛 백양사 앞뜰에다 여러 그루의 ..
-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長城 白羊寺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53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2. 26. 18:08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長城 白羊寺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53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153호 명칭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長城 白羊寺 비자나무 숲)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분포학 수량/면적 710,697㎡(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62.12.03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산115-1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장성군 관리자( 관리단체) 장성군수 설명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의 내장산 이남과 일본 등에서 자란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열매는 구충제 및 변비 치료제나 기름을 짜는데 쓰인다. 백양사 비자나무 분포 북한지대는 전라남도 장성의 백양사(白羊寺) 주변에 8∼10m에 달하는 비자나무 5,000여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이 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