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사적
-
환구단 (圜丘壇)-사적 제157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5. 22:48
환구단 (圜丘壇)-사적 제157호 종목 사적 제157호 명칭 환구단 (圜丘壇)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수량 3필지/4,278㎡ 지정일 1967.07.15 소재지 서울 중구 소공동 87-1 시대 대한제국시대 소유 국유 관리 중구 설명 환구단(圜丘壇)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제천행사는 농경문화의 형성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삼국시대부터는 국가적인 제천의례로 시행된 것으로 믿어진다. 고려 성종 2년(983) 정월에 처음 시행되어 설치와 폐지를 계속 되풀이하다가 조선초에 제천의례가 억제되자 폐지되었다. 세조 2년(1456)에는 일시적으로 제도화하여 1457년에 환구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그러나 세조 10년(1464)에 실시된 제사를 마지막으로 환..
-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사적 제258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5. 22:08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사적 제258호 종목 사적 제258호 명칭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천주교/ 성당 수량 1,409.54㎡ 지정일 1977.11.22 소재지 서울 중구 명동2가 1-8 시대 대한제국시대 소유 천주교재단 관리 설명 명동성당은 코스트(Coste) 신부가 설계하였고 파리선교회의 재정지원을 얻어 건립되었다. 본래 순교자 김범우의 집이 있던 곳으로, 블랑주교가 김 가밀로라는 한국인 명의로 사들였다. 그후 1887년 한국과 프랑스사이에 통상조약이 체결된 후 1898년 완성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벽돌로 쌓은 교회이며, 순수한 고딕식 구조로 지어졌다. 평면은 십자형이며 본당의 높이는 23m, 탑의 높이는 45m이다. 고딕양식의 장식적 요소를 배제하면..
-
덕수궁 (德壽宮)-사적 제124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5. 16:29
덕수궁 (德壽宮)-사적 제124호 종목 사적 제124호 명칭 덕수궁 (德壽宮)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 67,048㎡ 지정일 1963.01.18 소재지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덕수궁 설명 조선시대의 궁궐로서 경운궁으로 불리다가, 고종황제가 1907년 왕위를 순종황제에게 물려준 뒤에 이곳에서 계속 머물게 되면서 고종황제의 장수를 빈다는 뜻의 덕수궁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덕수궁 자리에는 조선 9대 임금인 성종의 형 월산대군의 집이 있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한양으로 돌아온 선조는 궁궐이 모두 불에 타고 없어서 임시로 월산대군의 집을 거처로 정하고 선조 26년(1593)부터 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근처의 계림군과 심의겸의 집..
-
경희궁지 (慶熙宮址)-사적 제271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4. 22:08
경희궁지 (慶熙宮址)-사적 제271호 종목사적 제271호명칭경희궁지 (慶熙宮址)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101,221.5㎡지정일1980.09.16소재지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45 (신문로2가) 시대조선시대소유국유관리서울역사박물관, 종로구설명원종의 집터에 세워진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이궁이다. 원종(1580∼1619)은 선조의 5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로 후에 왕으로 추존되었다. 광해군 8년(1616)에 세워진 경희궁은 원래 경덕궁 이었으나 영조 36년(1760)에 이름이 바뀌었다. 원래의 규모는 약 7만여평 이었다. 그러나 민족항일기인 1907년부터 1910년에 걸쳐 강제로 철거되어 궁궐로서의 존재가치를 상실하였고 궁터도 철저하게 파괴되고 변형되어 결국 현재의 규모로 축소되었다...
-
창경궁 (昌慶宮)-Changgyeonggung Palace -사적 제123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3. 23:08
창경궁 (昌慶宮)-사적 제123호 종목 사적 제123호 명칭 창경궁 (昌慶宮)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 216,774㎡ 지정일 1963.01.18 소재지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창경궁 설명 조선시대 궁궐로 태종이 거처하던 수강궁터에 지어진 건물이다. 성종 14년(1483)에 정희왕후, 소혜왕후, 안순왕후를 위해 창경궁을 지었다. 처음 지을 당시의 건물은 명정전·문정전의 정전과 수령전·환경전·경춘전·인양전·통명전 등의 침전 및 양화당·여휘당·사성각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궁궐중에서는 유일하게 동쪽을 향해 지어졌다. 처음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다가 임진왜란 때에 경복궁·창덕궁과 함께 불에 탄 이후, 창덕궁과 같이 다시 지어져 조선왕조 역..
-
Changdeokgung Palace Complex-창덕궁 (昌德宮)-사적 제12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3. 23:03
Changdeokgung Palace Complex창덕궁 (昌德宮)-사적 제122호 종목 사적 제122호 명칭 창덕궁 (昌德宮)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 550,916㎡ 지정일 1963.01.18 소재지 서울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창덕궁 설명 조선시대 궁궐 가운데 하나로 태종 5년(1405)에 세워졌다. 당시 종묘·사직과 더불어 정궁인 경복궁이 있었으므로, 이 궁은 하나의 별궁으로 만들었다. 임금들이 경복궁에서 주로 정치를 하고 백성을 돌보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크게 이용되지 않은 듯 하다.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창경궁과 함께 불에 타 버린 뒤 제일 먼저 다시 지어졌고 그 뒤로 조선왕조의 가장 중심이 되는 정궁 역할을 하게 되었다. 화재..
-
경복궁 (景福宮)-Gyeongbokgung Palace-사적 제117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3. 21:45
경복궁 (景福宮)-사적 제117호 종목사적 제117호명칭경복궁 (景福宮)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432,703㎡지정일1963.01.21소재지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시대조선시대소유국유관리경복궁설명조선시대 궁궐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왕조 제일의 법궁(法宮, 임금이 사는 궁궐)으로 태조 4년(1395)에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 처음으로 세운 궁궐이다. 궁궐의 이름은 정도전이 『시경』에 나오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우리라”에서 큰 복을 빈다는 뜻의 ‘경복(景福)’이라는 두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1412년 태종은 경복궁의 연못을 크게 넓히고 섬 위에 경회루를 만들었다. 이 곳에서 임금과 신하가 모여 잔치를 하거나 외국에서 오는 사신..
-
흥선대원군이 살았던 서울 운현궁 (서울 雲峴宮)-사적 제257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2. 11:33
서울 운현궁 (서울 雲峴宮)-사적 제257호 종목 사적 제257호 명칭 서울 운현궁 (서울 雲峴宮)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터 수량 9,413.23㎡ 지정일 1977.11.22 소재지 서울 종로구 삼일대로 460 (운니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 학교법인덕성학원 관리 서울특별시,학교법인덕성학원 설명 운현궁은 흥선대원군이 살았던 집으로, 고종이 태어나서 왕위에 오를 때까지 자란 곳이기도 하다. 흥선대원군의 집과 1910년대 새로 지어 덕성여자대학 본관으로 사용하던 서양식 건물을 합쳐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한옥은 제일 앞 남쪽에 대원군의 사랑채인 노안당이 자리잡고, 뒤쪽인 북쪽으로 행랑채가 동서로 길게 뻗어있으며 북쪽에 안채인 노락당이 자리잡고 있다. 고종이 즉위하자 이곳에서 흥선대원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