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사적
-
서울 연산군묘 (서울 燕山君墓)-Tomb of King Yeonsangun, Seoul- 사적 제36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13. 08:39
서울 연산군묘 (서울 燕山君墓)-사적 제362호 종목 사적 제362호 명칭 서울 연산군묘 (서울 燕山君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조선시대 수량 14,301㎡ 지정일 1991.10.25 소재지 서울 도봉구 방학동 산77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정릉관리소 설명 조선 10대 연산군(재위 1494∼1506)과 부인 거창 신씨의 무덤이다. 연산군은 성종의 큰 아들로 성종 7년(1476)에 태어나 1494년 왕위에 올랐다. 두번씩이나 사화를 일으키는 등 성품의 광폭함이 드러나자 진성대군을 왕으로 추대하는 중종반정이 일어나, 1506년 왕직을 박탈당하고 연산군으로 강봉되어 강화 교동으로 추방되었다가, 그 해 1506년에 죽었다. 부인 신씨가 연산군 무덤을 강화에서 현재의 이곳으로 옮겨 달라 청..
-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楊花나루와 蠶頭峰 遺蹟)-사적 제399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8. 20:44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楊花나루와 蠶頭峰 遺蹟)-사적 제399호 종목 사적 제399호 명칭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楊花나루와 蠶頭峰 遺蹟)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교통/ 수상교통 수량 36,245㎡ 지정일 1997.11.11 소재지 서울 마포구 토정로 6 (합정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 천주교서울대교구재단 관리 천주교서울대교구절두산기념관 설명 한국 천주교의 성지인 잠두봉과 주변에 있었던 양화나루터를 가리킨다. 잠두봉은 봉우리가 누에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66년 천주교에서 잠두봉을 중심으로 성당과 기념관을 세웠고 주변 지역을 공원으로 꾸몄다. 성당과 기념관 안에는 이벽, 이가환, 정약용 등 천주교와 관련된 조선시대 후기 학자들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Appenzeller Hall))-사적 제277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8. 19:44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Appenzeller Hall) (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Appenzeller Hall))-사적 제277호 종목 사적 제277호 명칭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서울 延世大學校 아펜젤러館(Appenzeller Hall))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근대교육문화/ 학교시설 수량 692㎡ 지정일 1981.09.25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연세대학교 관리 설명 배재학당을 설립한 아펜젤러를 기념하기 위한 건물로 미국·매사츠세츠주 피츠필드시의 기부금을 가지고 지어졌다. 화학과 교수 밀러의 감독하에 1921년 짓기 시작해 1924년 완성했다. 고딕풍의 단아한 건물이며, 돌로 지은 3층 건물로 언더우드관과 함께 연세대학교에 두 번째 세워진 ..
-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서울 延世大學校 언더우드館(Underwood Hall))-사적 제276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8. 18:51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Underwood Hall) (서울 延世大學校 언더우드館(Underwood Hall))-사적 제276호 종목 사적 제276호 명칭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Underwood Hall) (서울 延世大學校 언더우드館(Underwood Hall))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근대교육문화/ 학교시설 수량 692㎡ 지정일 1981.09.25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연세대학교 관리 설명 지금의 연세대학교, 옛 연희전문학교의 건물로 학관(學館)이라 불러왔다. 1921년 짓기 시작해 1924년 완성된 돌로 지은 4층 건물로서 아펜젤러관과 함께 연세대학교에 두 번째로 세워졌다. 연희전문학교의 창설자인 언더우드(한국이름 원두우) 박사의 업적과 인격..
-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Stimson Hall) (서울 延世大學校 스팀슨館(Stimson Hall))-사적 제275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8. 16:46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Stimson Hall) (서울 延世大學校 스팀슨館(Stimson Hall))-사적 제275호 종목 사적 제275호 명칭 서울 연세대학교 스팀슨관(Stimson Hall) (서울 延世大學校 스팀슨館(Stimson Hall))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근대교육문화/ 학교시설 수량 449.6㎡ 지정일 1981.09.25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연세대학교 관리 설명 연세대학교에 최초로 세워진 건물로서, 1919년 착공하여 1920년 완성된 돌로 지은 2층 건물이다.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자 언더우드(한국이름 원두우)목사가 고향인 미국으로 돌아가서 항구적인 학교건축을 위해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던 찰스 스팀슨의 기부금을..
-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서울 舊 西大門刑務所)-사적 제324호-Former Seodaemun Prison, Seoul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8. 16:23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서울 舊 西大門刑務所)-사적 제324호 종목 사적 제324호 명칭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서울 舊 西大門刑務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근대정치국방/ 기타 수량 3,346.9㎡ 지정일 1988.02.27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101 시대 대한제국시대 소유 국유,공유 관리 서대문구 설명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침략을 본격화하기 위해 1907년 인왕산 기슭에 일본인이 설계하여 건립한 근대적인 감옥이다. 약 5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560여 평의 목조건물을 짓고 ‘경성감옥’이라 불렀다. 종로의 감옥에서 500여 명을 데려와 수용하고 광복을 맞이하는 1945년까지 독립운동가들을 가두고 고문과 박해를 하고 심지어 목숨을 빼앗은 곳이다. 애국인사들이 늘어나자 1912년 일..
-
서울 영은문 주초 (서울 迎恩門 柱礎)-사적 제33호-Plinths of Yeongeunmun Gate, Seoul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8. 15:41
서울 영은문 주초 (서울 迎恩門 柱礎)-사적 제33호 종목 사적 제33호 명칭 서울 영은문 주초 (서울 迎恩門 柱礎)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 사적32호에포함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941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서대문구 설명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 앞에 세웠던 주춧돌이다. 개화기에 우리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다짐하는 의미로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면서 그 기둥을 받치던 밑돌인 주초만 남게 되었다. 모화관은 조선 태종 7년(1407)에 처음 세우고 모화루라 하였는데 그 뒤 세종 12년(1430)에 모화관이라 이름을 바꾸고 그 앞에 상징적인 의미의 홍살문을 세웠다. 중종 32년(1537)에 홍살문..
-
서울 독립문 (서울 獨立門)-사적 제32호-Dongnimmun Arch, Seoul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8. 14:53
서울 독립문 (서울 獨立門)-사적 제32호 종목 사적 제32호 명칭 서울 독립문 (서울 獨立門)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역사사건/ 역사사건 수량 2,715.8㎡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941 시대 대한제국시대 소유 국유 관리 서대문구 설명 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세운 기념물이다. 갑오개혁(1894∼1896)은 내정개혁과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이다. 그러나 외국세력의 간섭으로 성공하지 못하였고 나라의 자주독립 또한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서는 어떠한 간섭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중국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게 되었다. 건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