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사적
-
서울 효창공원 (서울 孝昌公園)-사적 제330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7. 13:33
서울 효창공원 (서울 孝昌公園)-사적 제330호 종목 사적 제360호 명칭 서울 효창공원 (서울 孝昌公園)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근대인물/ 광복운동 수량 123,307㎡ 지정일 1989.06.08 소재지 서울 용산구 효창동,청파동2가및마포구신공덕동,공덕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 국유 관리 용산구 설명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시는 곳이다. 원래는 효창원으로, 정조의 큰 아들인 문효세자·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숙의 박씨의 자녀인 영온공주의 무덤이 있었다. 일제시대에 문효세자의 묘를 경기도 고양에 있는 서삼릉(西三陵)으로 옮기면서 효창원은 효창공원이 되었다. 광복 후에는 김구·이동녕·차이석·이봉창·윤봉길·조성환·안중근을 비롯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
-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 高麗大學校 中央圖書館)-사적 제286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6. 23:02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 高麗大學校 中央圖書館) -사적 제286호 종목 사적 제286호 명칭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 高麗大學校 中央圖書館)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근대교육문화/ 학교시설 수량 1,219.8㎡ 지정일 1981.09.25 소재지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관리 설명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가 개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세운 도서관 건물이다. 1935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937년에 완성한 5층 건물로 설계는 본관을 설계한 박동진이 하였다. 현재 이 건물은 대학원동과 교수연구실로 이용하고 있다. 건축의 양식과 구조는 미국 듀크대학의 도서관을 참고 하였다고 한다. 모서리 부분의 서양 중세풍의 5층 탑 꼭대기 부분은 정교한 고딕..
-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서울 高麗大學校 本館)-사적 제285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6. 22:2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서울 高麗大學校 本館) -사적 제285호 종목 사적 제285호 명칭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서울 高麗大學校 本館)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근대교육문화/ 학교시설 수량 664.46㎡ 지정일 1981.09.25 소재지 서울 성북구 안암동 1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관리 설명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의 경영을 맡았던 김성수가 1933년 공사를 시작하여 1934년에 완성한 본관건물로 박동진이 설계하였다. 3층(중앙탑은 6층)이며 화강석을 주재료로 한 좌우대칭의 고딕양식으로 되어 있다. 평면 H자형이며, 중앙에는 넓은 홀이 있다. 건물 현관의 두 돌기둥에는 학교의 기상을 상징하는 호랑이 상이 조각되어 있고, 중앙 후문의 돌기둥에는 무궁화가 조각되어 있다. 건..
-
서울 선잠단지 (서울 先蠶壇址)-사적 제83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6. 19:33
서울 선잠단지 (서울 先蠶壇址) -사적 제83호 종목 사적 제83호 명칭 서울 선잠단지 (서울 先蠶壇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제사유적/ 제사터 수량 1,745㎡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동 64-1 시대 고려시대 소유 서울시 관리 성북구 설명 누에치기를 처음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씨를 누에신(잠신蠶神)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이 단은 고려 성종 2년(983)에 처음 쌓은 것으로, 단의 앞쪽 끝에 뽕나무를 심고 궁중의 잠실(蠶室)에서 누에를 키우게 하였다. 세종대왕은 누에를 키우는 일을 크게 장려했는데, 각 도마다 좋은 장소를 골라 뽕나무를 심도록 하였으며, 한 곳 이상의 잠실을 지어 누에를 키우도록 하였다. 그러다가 중종 원년(1506)에는 여러..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 건물 구 서울역사 (舊 서울驛舍)-사적 제284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6. 13:39
구 서울역사 (舊 서울驛舍)-사적 제284호 종목 사적 제284호 명칭 구 서울역사 (舊 서울驛舍)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근대교통·통신시설/ 철도 수량 2,964㎡ 지정일 1981.09.25 소재지 서울 중구 청파로 426 (봉래동2가)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문화재청 관리 문화체육관광부 설명 1922∼1925년에 지어진 지하 1층, 지상 2층의 석재가 혼합된 벽돌식 역 건물이다. 1층은 르네상스 궁전건축 기법으로 처리하고, 1층 윗부분과 2층은 붉은 벽돌로 쌓고, 부분적으로 화강석을 장식하여 마감하였다. 현재 이 건물은 여객전용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 건물이라는 점에서 건축사적 가치가 크다.
-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건물 서울 약현성당 (서울 藥峴聖堂)-사적 제25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6. 00:31
서울 약현성당 (서울 藥峴聖堂)-사적 제252호 종목 사적 제252호 명칭 서울 약현성당 (서울 藥峴聖堂)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천주교/ 성당 수량 1,309㎡ 지정일 1977.11.22 소재지 서울 중구 중림동 149-2 시대 조선시대 소유 천주교재단 관리 설명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건물로 1892년 프랑스인 신부 코스트가 설계·감독하였다. 길이 약 32m, 너비 12m의 십자형 평면 구조이며 비교적 소규모의 성당이다. 옆면 창은 처마 높이가 낮아 뾰족아치가 아닌 원형아치로 되어 있으나, 앞면의 출입구와 옆면 좌우로 돌출한 출입구 창 부분이 각기 뾰족아치를 이루어 고딕 모양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교회건축이라는 점과, 순수한 고딕양식은 아니지만 벽돌로 된 고딕성당으로 후세의 한..
-
서울 한국은행 본관 (서울 韓國銀行 本館)-사적 제280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5. 23:39
서울 한국은행 본관 (서울 韓國銀行 本館)-사적 제280호 종목 사적 제280호 명칭 서울 한국은행 본관 (서울 韓國銀行 本館) 분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근대산업생산/ 금융업 수량 2,409㎡ 지정일 1981.09.25 소재지 서울 중구 남대문로 39 (남대문로3가)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 한국은행 관리 설명 본 건물은 1910년대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은행건물이다. 일본의 제일은행 경성지점이었으나 옛 조선은행이 설립되기까지 중앙은행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1945년 해방과 더불어 한국은행 본관이 되었다. 지하1층 지상3층의 철골 콘크리트 구조로 외벽에는 화강석을 다듬어 붙였다. 일본사람이 설계하였으며, 한국전쟁 때 내부가 불에 타서 1956년에 보수하였다. 그 후 1987년 신관을 건물의 뒤쪽에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