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慶州 金鈴塚 出土 金製 銙帶)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2. 21. 12:31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 1점 지정일 2023.12.26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세기 말~6세기 초) 소유 국유 관리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 설명‘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신라시대 고분인 금령총(金鈴塚)을 일제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발굴했을 때 출토된 것이다. 금령총은 무덤 내부에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파고 덧널[槨]을 설치한 신라 특유의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으로 발굴 당시 금관(보물),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금령 등 당시 신라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유물들이 대거 출토된 중요한 무덤이다.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목관 안에서 피장자가 허리에 착용한 상태로 발견되었는데 원래 가죽이나 천과 결합된 허리띠였으나 오랜 시간을 거치며 이것들은 삭아 없어지고 금제 장식만 남아 있는 상태였다. 금제 허리띠는 버클에 해당하는 띠고리[鉸具], 띠꾸미개[銙板], 띠끝꾸미개[帶端金具], 드리개[腰佩]로 구성되는데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는 다른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보다 길이가 짧다. 이는 허리띠를 착장했을 때의 모습을 고려하면 착장자의 키와 관련될 수밖에 없어 고분의 피장자에 대한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에는 다른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드리개[腰佩]에서는 보이지 않는 금실이 감긴 연필형(원뿔형) 드리개[腰佩] 2점이 있어 주목된다. 더불어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 중 드리개[腰佩]에 가장 많은 4점의 곡옥이 있는데, 곡옥의 모자 부분에 난집을 두르고 유리를 채워 넣어 장식하였다. 이는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의 곡옥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장식기법으로 연필형(원뿔형) 드리개[腰佩] 2점과 세부 장식이 유사한데 정교하고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어 조형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출토지가 명확하며, 전형적인 신라 금제 허리띠의 모습을 갖추면서도 다른 허리띠와는 구별되는 요소들이 있어 허리띠의 기원과 구성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충분하다.보물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金鈴塚 出土 金製 銙帶)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검색 (heritage.go.kr)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 문수사 대웅전(高敞 文殊寺 大雄殿) (0) 2024.04.09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 (靑磁 陰刻鸚鵡文 淨甁) (0) 2024.02.21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慶州 瑞鳳塚 出土 金製 銙帶) (0) 2024.02.21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Monument for the Incense Burial Ceremony in Heungsa-ri, Sacheon-보물 제614호 (0) 2024.02.03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忠州 淨土寺址 法鏡大師塔碑)-Stele of Buddhist Monk Beopgyeong at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0) 2024.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