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Monument for the Incense Burial Ceremony in Heungsa-ri, Sacheon-보물 제61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2. 3. 17:19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일 1978.03.08 소재지 경남 사천시 곤양면 흥사리 산48-2번지 시대 고려 우왕 13년(1387) 소유 국유 관리 사천시 침향나무 Aquilaria agallocha(팥꽃나무과)의
수지(樹脂)가 침착된 수간목을 일컫는다.
千人結契埋香願王文」 夫欲求无上妙果必須行願相扶有行无願其行必」 孤有願无行其願虛設行孤則果喪願虛則福劣二業」 雙運方得助▨妙果貧道與諸千人同發大願埋」 沉香木以待 慈氏下生龍華三㞧持此香達」 奉獻供養弥勒如來𦔵淸淨法悟无生忍」 成不退地願同發人盡生內院訂不退地慈氏如」 來見爲我訂預生此國預在礿㞧𦔵法悟」 道一切具足成其正覺」 主上殿下万万歲國泰民安 達空」 洪正廿年丁卯八月廿八日埋 刻金用」 優婆塞優波夷比丘比丘尼 書守安」 大化主覺禪」 都計四千一百人」 個中」 室上」
https://portal.nrich.go.kr/kor/ksmPandokView.do?ksm_idx=3495&pan_idx1=3648사천 매향비 비문 내용
『우리는 그동안 미륵여래님이 이 세상 낮은 곳으로 내려와 아름다운 이상세계를 이루신다는 용화법회를 세 번이나 개최하였고, 지금 그러한 세계를 간절하게 기다리면서
이 향을 묻어 미륵여래님에게 봉헌하여 공양하고자 합니다.
미륵여래님의 청정한 진리의 말씀을 듣고 우리는 살아가면서 겪는 이 인생의 인고가
아무것도 아님을 깨달아, 아무리 괴롭고 고통스럽더라도 아무도 이 땅에서 물러서지 않고 이 땅을 지켜나갈 것임을 모든 사람들이 뜻을 합하여 대동발원(大同發源)합니다. 모든 이들이 저마다의 목숨을 다하여 도솔천 내원궁에 왕생할 것을 발원하며,
이 땅에서 물러나지 않을 것임을 당신께서 보시고 우리들을 위하여 이 땅에 나시어서 이 약회(禴會) 위에 계시면서 당신의 진리를 듣고 깨닫게 하고 계십니다.
모든 사람들이 바르게 깨닫도록 하고 계십니다. 무궁하도록 임금님의 만세와 나라의 태평성대, 그리고 백성의 편안함을 비옵니다.
고려 우왕 13년(1387년) 정묘 8월 28일에 묻다.』
{"originWidth":750,"originHeight":733,"style":"alignCenter","caption":"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종목별 검색 (heritage.go.kr)
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종목별 검색 (heritage.go.kr)
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종목별 검색 (heritage.go.kr)
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종목별 검색 (heritage.go.kr)
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종목별 검색 (heritage.go.kr)
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종목별 검색 (heritage.go.kr)
보물 사천 흥사리 매향비 (泗川 興士里 埋香碑)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 종목별 검색 (heritage.go.kr)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