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주 쌍충 사적비 (晋州 雙忠 事蹟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4. 2. 23:06
진주 쌍충 사적비 (晋州 雙忠 事蹟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
쌍충사적비 (雙忠事蹟碑) 쌍충사적비 (雙忠事蹟碑)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호 명칭
진주 쌍충 사적비 (晋州 雙忠 事蹟碑)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
1基 지정일
1972.02.12 소재지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진주시 설명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위해 싸우다 전사한 제말장군과 그의 조카인 제홍록의 충의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제말(?∼1592)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웅천 ·김해 ·의령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공을 세웠고, 성주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제홍록은 숙부와 더불어 전공을 세웠으며, 이순신 휘하에 있다가 정유재란 때 전사하였다.
비의 형태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올리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거북받침은 등부분에 아무런 조각이 없으며, 튀어나온 눈을 강조하여 토속적인 느낌이 든다. 머릿돌에는 서로 엉킨 두 마리의 용이 머리를 맞대고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습이 생동감있게 조각되어 있다. 그 밑면에는 국화무늬를 장식하여 마무리하고 있다. 비문에는 제말장군과 제홍록의 공적을 적어 놓았다.
정조 16년(1792) 이조판서 서유린에게 글을 짓게 하여 비를 세웠다. 일제시대 때 일본관헌에 의해 비각이 헐리어 방치되었다가 1961년 지금의 자리로 옮기고 비각도 새로 지었다.쌍충사적비 (雙忠事蹟碑) 쌍충사적비 (雙忠事蹟碑) 쌍충사적비 (雙忠事蹟碑) 쌍충사적비 (雙忠事蹟碑) 제말(諸沫)
장군은 경남 고성(固城) 출생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웅천, 김해, 의령 등지에서 전공을 세우고 곽재우(郭再祐) 장군과 함께 그 공이 조정(朝廷)에 알려져 선조 26년(1593)에 성주목사(星州牧使)에 임명되었으나, 성주 전투에서 왜적을 토벌하다 그 해에 전사하였다. 장군은 날아다니듯 빠르다 하여 비(飛) 장군이라 불리었으며, 왜적도 장군을 두려워하여 싸우기를 피했다고 한다.
http://php.chol.com/~park0067/jinjucastle/inmul_jemal.htm에서제말(諸沫)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의병장. 본관은 칠원(漆原). 제씨의 시조. 고성(固城)출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웅천(熊川)·김해·정암(鼎巖) 등지에서 대승하였다.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목사에 임명되었으나, 그뒤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정조 때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의(忠毅)이다.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11979
에서
제홍록(諸弘祿)
1558(명종 13)∼1597(선조 30).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경행(景行), 호는 고봉(高峰). 참판 호(灝)의 아들이다.
1581년(선조 14)무과에 급제, 수문장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성에서 숙부 말(沫)을 따라 의거, 김해·웅천(熊川)·정암(鼎巖) 등지에서 용전, 명성이 이순신(李舜臣)에게 알려져 그 막하가 되었고, 벼슬이 훈련부정에 이르렀다. 그는 충성과 용기가 대단하여 소수의 정예로 많은 적을 격퇴, 이순신의 진중에서 전공을 크게 세웠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왜군에 포위된 진주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출전중 불시에 적을 만나 적장을 죽이고 전사하였다. 정조 때 병조참판에 추증되고, 정각을 세워 제사지내도록 하였다.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11977
에서
'문화재 > 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녕 관룡사 약사전 삼층석탑 (昌寧 觀龍寺 藥師殿 三層石塔)-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0) 2013.04.04 창녕 퇴천리 삼층석탑 (昌寧 兎川里 三層石塔)-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호 (0) 2013.04.03 진주의암사적비 (晉州義巖事蹟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3호 (0) 2013.04.02 밀양 천진궁 (密陽 天眞宮)-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7호 (0) 2013.04.02 선운사석씨원류 (禪雲寺 釋氏源流)-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호 (0) 201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