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麟蹄 鳳頂庵 五層石塔)-Five-story Stone Pagoda at Bongjeongam Hermitage, Inje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3. 24. 18:56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2014.07.03 소재지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산77 소유자 봉정암 관리자 봉정암 문화재 설명봉정암 오 층 석탑은 설악산 소청봉 아래 해발 1244미터 높이에 위치한 봉정암의 경내에 있는 높이 3.6m 규모의 석탑이다. 한용운이 쓴 『백담사사 적기』(1923년)에 수록된「봉정암중수기」(1781년)에 따르면 지장율사가 당에서 얻은 석가불의 사리 7 과가 이 탑에 봉안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이를 근거로 봉정암은 통도사, 상원사, 정암사, 법흥사와 함께 진신사리가 봉안되어 있는 5대 ‘적멸보궁’의 하나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탑의 형식상 그 구성이 단순하고 탑신의 체감률도 적은 편이며 옥개석에 구현된 양식 등은 고려후기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그 조성시기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석탑은 기단부․탑신부․상륜부의 3부분이 조화를 이루며 건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탑은 거대한 자연암석을 기단으로 삼아 바위 윗면을 치석 하여 2개의 단을 만들고 그 주변에 16개의 연잎을 돌려 기단부를 조성하였다. 그 위에 올려진 탑신석[몸돌]은 3층까지 모서리에 우주(隅柱, 기둥)가 모각되어 있고 탑신석 위에 올려진 두꺼운 옥개석[지붕돌]은 낙수면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하며 끝부분만 살짝 반전된 형태이다. 옥개석 아래로는 각 층마다 3단의 옥개받침이 두껍고 투박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옥개석의 윗면에는 탑신받침이 새겨져 있다. 상륜부는 연꽃 봉오리 혹은 보주 형태의 석재를 올려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봉정암 오층석탑은 기단부를 생략하고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았다는 점, 진신사리를 봉안한 석탑이라는 점 그리고 고대의 일반형 석탑이 고려후기에 단순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한국 불교건축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직접 보지 못하고 유튜브 동영상으로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화엄사 소조사천왕상(求禮 華嚴寺 塑造四天王像) (0) 2023.09.10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康津 白蓮寺 大雄寶殿) (0) 2023.05.01 독서당계회도(讀書堂契會圖)-Dokseodang gyehoedo (Gathering of Officials at Dokseodang Study) (0) 2023.03.22 안성청룡사금동관음보살좌상 (安城靑龍寺金銅觀音菩薩坐像)Gilt-bronze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Cheongnyongsa Temple, Anseong (0) 2023.03.15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昌寧 觀龍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0) 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