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 (江陵鄕校 東廡‧西廡‧前廊)-보물 제2089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3. 21. 12:41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수량 3동 지정(등록)일 2020.12.28 소재지 강원도 강릉시 명륜로 29 (교동, 강릉향교) 시대 조선시대(동무‧서무 1413년 중건, 1613년 중창, 1623년 중창/전랑 1486년 중수, 1862년 중건) 소유자 강릉향교 관리자 강릉향교 「강릉향교」는 건축물의 위치와 규모, 기법, 공간구조의 비례와 적합성, 유서 깊은 역사성 등에서 향교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대표성과 역사성, 조형성은 대성전과 명륜당을 비롯한 동무․서무, 전랑(내삼문) 등 모든 부속건물과 일체가 되어 서로 융합됨으로서 가능한 것임. 「강릉향교」에 봉안된 위패의 수는 총 136위인데, 대성전에 21위, 동무에 58위, 서무에 57위를 봉안하고 있음. 동무와 서무는 각각 5칸 건물로 대성전 앞마당의 좌우를 채우고 대성전의 측면까지 뻗어있음. 동무와 서무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익공과 종도리 형태를 들 수 있는데, 동무에는 초익공과 판대공이, 서무에는 물익공과 동자대공이 각각 사용됨. 강릉향교 동무․서무는 원래 3칸 건물이 5칸 건물로 확대되고 수리과정에서 양식이 혼용되었으나, 정성스럽게 제작된 사롱창, 베개 모양 받침을 갖는 동자대공, 둥글게 감아올린 보아지의 초각 등에서 고식의 건축기법이 계승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음. 강릉향교 전랑은 제향공간의 출입문으로 전면 강학공간과 후면 제향공간을 구분하는 건물임. 대성전 전면에 가로로 길게 지어진 행랑으로 되어 있어 특이한 형태인데, 이는 향교 내 삼문 형식이 갖추어지기 이전의 형식으로 추정되며, 1721년 중수(전랑중수기록) 이후 큰 변화 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있음. 전랑은 18세기에 전체 칸수가 축소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보머리의 삼분두 형태 등을 고려해 볼 때 그 이전의 구성형식을 계승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또 신문(神門)으로서의 격식을 드러내기 위해 어칸의 기둥을 높이고, 보 아래의 인방재를 추가하여 초익공과 유사한 머리장식을 돌출시켰으며, 서까래의 단면을 조절하여 겹처마의 느낌을 가미한 점 등에서 건축적 탁월성을 보여줌. 이상의 사유로 역사적, 학술적, 건축사적 가치가 뛰어나 보물로 지정해 보존 관리할 필요가 있음.
동무
서무
전랑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大邱 桐華寺 地藏十王圖)-보물 제1773호 (0) 2021.03.24 강릉향교 명륜당 (江陵鄕校 明倫堂)-보물 제2088호 (0) 2021.03.21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당 (安東 陶山書院 陶山書堂)-보물 제2105호 (0) 2021.03.21 안동 도산서원 농운정사 (安東 陶山書院 隴雲精舍)-보물 제2106호 (0) 2021.03.21 선원제전집도서 목판 (禪源諸詮集都序 木板)-보물 제2111호 (0) 202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