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
불정심다라니경 (佛頂心陀羅尼經)-보물 제110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4. 18:40
불정심다라니경 (佛頂心陀羅尼經) -보물 제1108호 종목 보물 제1108호 명칭 불정심다라니경 (佛頂心陀羅尼經)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왕실본 수량 3권1책 지정일 1991.09.30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불정심다라니경은 온 마음으로 읽고 지니면 재앙을 피할 수 있다는 신앙에 의해 널리 유통된 경전이다. 다라니는 지혜와 삼매(三昧:잡념을 버리고 한가지 일에 정신을 집중시키는 것)를 성취시켜 주는 힘을 지니고 있는 말씀으로 글자 하나마다 무한한 의미와 위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은 목판에 새기고 닥종이에 찍어낸 것으로 상·중·하 3권을 1책으로 엮었으며, 크기는 세로 31㎝, 가..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보살만행수능엄경 권1~4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一∼四)-보물 제124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4. 11:4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보살만행수능엄경 권1~4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一∼四) -보물 제1248호 종목 보물 제1248호 명칭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보살만행수능엄경 권1~4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一∼四)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 4권1책 지정일 1997.06.12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또는 ‘능엄경’이라고도 하며,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속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얻을 것을 주요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송나라 계환(戒環)이 중요부분을 요약하여 풀이한『..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七)-보물 제754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3. 18:22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七) -보물 제754호 종목 보물 제754호 명칭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七)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사경 수량 1권1첩 지정일 1984.05.30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七)은 당의 실차난타가 번역한『화엄..
-
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紺紙金泥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七)-보물 제756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3. 16:36
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紺紙金泥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七) -보물 제756호 종목 보물 제756호 명칭 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紺紙金泥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七)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사경 수량 1권1첩 지정일 1984.05.30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또는 ‘능엄경’이라 부른다.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속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체득하여 힘을 갖는 것을 주요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스님들이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五~六)-보물 제75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3. 12:04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五~六) -보물 제755호 종목 보물 제755호 명칭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 (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五~六)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필사본/ 사경 수량 2권1첩 지정일 1984.05.30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五~六)책은 당의 실차난타가 번..
-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보물 제104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3. 10:59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보물 제1048호 종목 보물 제1048호 명칭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보살도 수량 1폭 지정일 1990.09.20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지장보살과 심판관인 시왕을 그린 지장시왕도이다. 지장보살은 지옥의 고통에서 허덕이는 중생들을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보살로, 지장을 그린 그림에는 지옥을 지키는 호법신이나 심판관의 모습이 함께 등장한다. 이 그림의 화면 중앙에 본존인 지장보살을 크게 그리고 아래쪽 좌우에 작게 시왕, 사천왕, 도명존자 등을 배치하여 섬세한 필법으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구도는 지장신앙과 시왕신앙이 결합되었지만 지장이 주가 되고..
-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有蓋壺)-보물 제106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1. 17:38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有蓋壺) -보물 제1068호 종목 보물 제1068호 명칭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粉靑沙器 象嵌牡丹唐草文 有蓋壺)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분청 수량 1점(유개) 지정일 1991.01.25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분청사기는 고려말 상감청자가 쇠퇴하면서 백자와는 다른 형태, 무늬, 구도을 가지고 나타난 매우 독특한 자기이다. 그 명칭은 백토로 분장한 회청사기, 즉 ‘분청회청사기’라는 말에서 유래되었고 ‘분청’이라고도 한다. 총 높이 25.2㎝, 높이 22.6㎝, 아가리 지름 8.4㎝, 밑지름 10.2㎝의 이 병은 두께가..
-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보물 제154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6. 4. 1. 16:58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 -보물 제1541호 종목 보물 제1541호 명칭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 (粉靑沙器 象嵌牡丹楊柳文 甁) 분류 유물 / 생활공예/ 토도자공예/ 분청 수량 1개 지정일 2007.12.31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성보문화재단,호림박물관 설명 양감이 좋은 15세기의 전형적인 분청사기 형태에 특징적인 상감문양이 장식된 병이다. 어깨와 아랫도리에는 흰 선상감으로 연판문대를 돌리고, 그 사이 동체 중심에는 모란과 버드나무를 엇갈려 4곳에 배치하였다. 앞·뒷면에는 각기 모양이 다르게 모란을 큼직하게 장식하고 그 사이에는 늘어진 버드나무를 흰 선상감으로 도안화시켜 베풀었다. 특히 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