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昌原 鳳林寺址 眞鏡大師塔碑)Stele of Buddhist Monk Jingyeong from Bongnimsa Temple Site, Changwon-보물 제363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7. 8. 19:08
분류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수량1기지정일1963.01.21소재지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시대통일신라시대소유국유 관리국립중앙박물관 국가유산 설명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심희(審希)의 탑비로, 원래 경남 창원의 봉림사터에 있던 것을 1919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심희(855∼923)는 9세에 출가하여 명산을 다니면서 수행을 하다가 경남 창원에서 봉림사를 창건하니, 이때부터 선문9산 중 하나인 봉림산문의 기운이 크게 일어났다. 궁으로 들어가 경명왕에게 설법을 하기도 하였고, 그 후 다시 봉림사로 돌아와 제자들을 지도하다 68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시호를 ‘진경대사’라 하고, ‘보월능공’이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비는 거북받..
-
창원 봉림사지 삼층석탑 (昌原 鳳林寺址 三層石塔)-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24. 7. 8. 15:41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1기지정일1972.02.12소재지경남 창원시 의창구 지귀로60번길 13-13 (봉곡동)시대고려시대소유경상남도(교육감) 관리상북초등학교 개별안내판 창원 봉림사지 昌原 鳳林寺址 경상남도 기념물 봉림사는 남북국시대 진경대사 심희가 진례성제군사 김율희의 도움을 받아 세운 절로서 이후 교세가 크게 확장되어 통일신라의 선종 가운데 하나인 봉림산파의 중심 사찰이 되었다. 1995년부터 최근까지 실시한 발굴조사에서 건물터, 삼층석탑지, 배수로 등을 확인하였다. 절의 구역은 크게 위아래 단으로 나누어져 있다. 윗단에는 몇 동의 건물과 함께 진경대사탑비와 승탑을 세웠고, 아랫단에는 건물터, 배수로, 삼층석탑, 연못을 배치하였다. 물이 많이 모이는 지형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절 ..
-
창원 봉림사지 (昌原 鳳林寺址)-경상남도 기념물 제127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7. 8. 15:17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면적6,978㎡(5필)지정일1993.12.27소재지경남 창원시 의창구 봉림동 165,168,175,176,177소유임윤화 등 관리봉림사 국가유산 설명봉림사터는 봉림산 중턱에 있는 주머니 모양의 분지에 있다. 통일신라 진성여왕 7년(894)에 심희(854∼923)가 지었고, 통일신라시대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로 번창하였으나, 이후의 내력에 대하여 상세히 전하는 바가 없으며 임진왜란 때 없어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절의 규모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이곳에는 건물터, 연못, 탑의 흔적이 남아있다. 또한 경복궁내에 있는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보물 제362호)과 탑비(보물 제363호)는 물론 상북초등학교내의 삼층석탑이 여기에서 반출된 것으로 알려있다. ..
-
광양 중흥산성 삼층석탑 (光陽 中興山城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of Jungheungsanseong Fortress, Gwangyang-보물 제11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4. 7. 8. 13:11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1기지정일1963.01.21소재지전남 광양시 옥룡면 중흥로 263-100 (운평리) / (지번)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90-1시대통일신라시대소유국유 관리광양시 국가유산 설명중흥산성 서쪽 시냇가에 있는 3층 석탑이다. 중흥산성에는 신라 경문왕 때 도선대사가 창건한 중흥사(中興寺)가 자리하고 있었으나, 임진왜란 당시 왜병과의 격전끝에 승병들은 모두 죽고 절은 불에 타버렸다고 전한다.이 탑은 원래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국보)과 함께 있었으나, 석등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고 석탑만이 남아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위층기단에는 모서리 기둥을 굵직하게 조각하였다. 한 면을 둘씩 나누어서 앞면에는 인왕상(仁..
-
광양중흥산성 (光陽中興山城)Jungheng Sanseong(Mountain Fortress)-전라남도기념물 제17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24. 7. 8. 12:24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분류12필지(488,823㎡)지정일1999.12.30소재지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산22번지 외시대고려시대소유서울대학교 관리서울대학교 국가유산 설명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에 있는 산성으로, 6개의 산봉우리를 아우르며 성 안으로 계곡을 품고 있다. 이곳은 백운산 중턱의 한재를 중심으로 구례·남원·하동·화개로 통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산 전체가 천연적인 요새로 흙을 쌓아 만든 토성인데, 단순히 흙을 쌓아올린 것이 아니고, 일정한 두께로 흙을 다져 쌓았다.외성은 길이가 약 4㎞ 정도로 매우 길며, 외성 안쪽에 약 240m에 이르는 내성을 흙으로 쌓았다. 중흥사 입구 세심정에 남문, 옥룡면 추산리로 넘어가는 오솔길에 북문터가 남아 있다. 임진왜란 때는 의병과 승병을 양..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Twin Lion Stone Lantern of Jungheungsanseong Fortress, Gwangyang-국보 제103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4. 7. 8. 11:16
분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석등수량1기지정일1962.12.20소재지광주 북구 하서로 110, 국립광주박물관 (매곡동)시대통일신라시대소유국유 관리국립광주박물관 국가유산 설명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 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자리한다. 일반적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을 이루는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이 석등은 큼직한 연꽃이 둘러진 아래받침돌 위로 가운데기둥 대신 쌍사자를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두 마리의 사자는 뒷발로 버티고 서서 가슴을 맞대어 위를 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사실적이면서 자연스럽게 표현되어 있어 주목된다. 8각의 화사석에는 4개의 ..
-
여주 파사성 (驪州 婆娑城)Pasaseong Fortress, Yeoju-사적 제251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24. 7. 8. 10:12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면적64,619㎡지정일1977.07.21소재지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천서리 산9번지시대삼국시대소유산림청 등 관리여주시 국가유산 설명 파사산 정상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쌓은 산성으로 둘레는 약 1800m이며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신라 파사왕(재위 80∼112) 때 만든 것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승려 의엄이 승군을 모아 성을 늘려 쌓았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남한산성에 대한 비중이 증가하여 파사성에 대한 중요성이 감소하였다. 현재는 동문이 있던 자리와 남문이 있던 터가 남아있다.이 성은 성의 일부가 한강변에 나와있어 강 줄기를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상대를 제압하기 매우 좋은 요새이다.※(파사성 → 여주 파사성)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
-
제5로 직봉 - 영광 고도도 봉수 유적 (第5路 直烽 - 靈光 古道島 烽燧 遺蹟)-사적572-10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24. 7. 7. 15:37
분류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수량/면적▲지정구역 2필지(1,076㎡) ▲보호구역 3필지(7,679㎡)지정일2023.11.22소재지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백암리 산 58 일원시대조선시대소유산*** 관리 국가유산 설명조선시대 통신체계인 ‘봉수(烽燧)’는 약정된 신호 전달체계에 따라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외적의 침입 사실을 중앙의 병조와 지방의 읍치 등에 알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남북의 주요 끝점에서 시작하여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으로 집결하도록 하였다.『증보문헌비고』(1908년)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중앙정부는 5개의 직봉, 23개의 간봉 노선을 운영하였으며, 전체 노선에는 총 622개의 봉수가 존재하였다. 그 중 부산 응봉과 서울 목멱산 제2봉수를 연결하는 「제2로 직봉」,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