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사적
-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사적 제28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3:17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사적 제28호 종목 사적 제28호 명칭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11,174㎡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조양동 산8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에서 불국사 방향으로 가는 길의 동남쪽 구릉 소나무숲 속에 자리하고 있는 신라 제33대 성덕왕(재위 701∼737)의 무덤이다. 성덕왕은 신문왕의 아들로 본명은 융기이다. 당과 적극적인 교류를 하였으며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된 신라의 전성기를 이끌어 나갔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737년에 왕이 죽자 이거사(移車寺) 남쪽에 장사지냈다고 하는데, 현재 왕릉 북쪽에 이거사로 추정되는 절터가 있다. 이 능은 밑둘레 46m 높이5m이다. 무덤 아..
-
경주 원성왕릉 (慶州 元聖王陵)-사적 제26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2:47
경주 원성왕릉 (慶州 元聖王陵) -사적 제26호 종목 사적 제26호 명칭 경주 원성왕릉 (慶州 元聖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75,372㎡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능리 산17 시대 삼국시대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괘릉은 낮은 구릉의 남쪽 소나무 숲에 있는 것으로 신라 제38대 원성왕(재위 785∼798)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원성왕의 이름은 경신이며 내물왕의 12대 후손으로 독서삼품과를 새로 설치하고 벽골제를 늘려쌓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왕릉이 만들어지기 전에 원래는 작은 연못이 있었는데, 연못의 모습을 변경하지 않고 왕의 시체를 수면 위에 걸어 장례하였다는 속설에 따라 괘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능은 원형 봉토분으로 지름 약 ..
-
경주 진덕여왕릉 (慶州 眞德女王陵)-사적 제24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1:45
경주 진덕여왕릉 (慶州 眞德女王陵)-사적 제24호 종목 사적 제24호 명칭 경주 진덕여왕릉 (慶州 眞德女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9,498㎡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현곡면 오류리 산48 시대 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 시내에서 동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구릉의 중간에 자리하고 있는 신라 제28대 진덕여왕(재위 647∼654)의 무덤이다. 진덕여왕은 선덕여왕의 뒤를 이은 신라의 2번째 여왕으로 본명은 승만이다. 진평왕의 동생인 국반갈문왕과 월명부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신라의 마지막 성골 출신 왕이다. 7년간 왕으로 있는 동안 국력을 기르고 당나라와 적극적 외교를 통해 고구려와 백제를 견제하여 삼국통일의 기초를 닦았다. 무덤은 흙으로 덮은 둥근..
-
경주 경덕왕릉 (慶州 景德王陵)-사적 제23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1:31
경주 경덕왕릉 (慶州 景德王陵) -사적 제23호 종목 사적 제23호 명칭 경주 경덕왕릉 (慶州 景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9,498㎡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산8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신라 제35대 경덕왕(재위 742∼765)의 무덤이라 전해지는 곳으로 경주 시가지에서 서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구릉에 자리하고 있다. 경덕왕은 성덕왕의 아들이며 이름은 헌영이다. 신라 왕실의 전제왕권이 쇠퇴되기 시작하는 시기에 왕위에 올라 행정구역 개편·직제개편 등을 단행하였다. 봉분은 둥근 모양이며, 무덤 주위에 봉분을 보호하기 위한 둘레돌을 둘렀다. 둘레돌은 목조건축물의 돌기단 같은 형태로 되어 있는데, 바닥돌을 깔고 그 위에 면석..
-
경주 김유신묘 (慶州 金庾信墓)-사적 제21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0:58
경주 김유신묘 (慶州 金庾信墓)-사적 제21호 종목 사적 제21호 명칭 경주 김유신묘 (慶州 金庾信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기타 수량 1398㎡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충효동 산7-10 시대 통일신라 소유 금산종무위원회 관리 경주시 설명 경주 송화산 동쪽 구릉 위에 자리잡고 있는 신라 장군 김유신의 무덤이다. 김유신(595∼673)은 삼국통일에 중심 역할을 한 사람으로, 김춘추(후에 태종무열왕)와 혈연관계를 맺으며 정치적 발판을 마련하였고, 여러 전투와 내란에서 큰 공을 세웠다. 660년에 귀족회의의 우두머리인 상대등이 되어 백제를 멸망시켰으며, 668년에는 신라군의 총사령관인 대총관(大摠管)이 되어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당의 침략을 막아 신라 삼국통일의 일등공신이 되..
-
경주 무열왕릉 (慶州 武烈王陵) -Tomb of King Muyeol, Gyeongju- 사적 제20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8. 20:37
경주 무열왕릉 (慶州 武烈王陵)-사적 제20호 종목사적 제20호명칭경주 무열왕릉 (慶州 武烈王陵) 분류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14,169㎡지정일1963.01.21소재지경북 경주시 서악동 842 시대삼국시대소유국유관리경주시설명신라 제29대 무열왕(재위 654∼661)의 무덤으로 경주 시가지 서쪽의 선도산 동쪽 구릉에 있는 5기의 큰 무덤 가운데 가장 아래쪽에 있다. 무열왕은 진덕여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최초의 진골 출신 왕으로 본명은 김춘추이다.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정복하고 삼국통일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삼국사기』에 의하면 왕위에 오른지 8년만인 661년 6월에 죽어, 죽은 왕에게 태종무열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영경사(永敬寺)) 북쪽에 장사지냈다고 전한다. 아직 발굴조사를 하지..
-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사적 제50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8:44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사적 제502호 석굴암과 불국사 [Seokguram Grotto and Bulguksa Temple] 종목 사적 제502호 명칭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 409,315㎡ 지정일 2009.12.21 소재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등 (진현동)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종교(불국사),사유 관리 대한불교조계종 불국사 설명 경주 토함산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다. 이후 조선 선조 26년(1593)에 왜의 침입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극락전, 자하문, 범영루 등의 일부 건물만이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1969년에서 1..
-
경주 정강왕릉 (慶州 定康王陵)-사적 제186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3. 14. 17:11
경주 정강왕릉 (慶州 定康王陵)-사적 제186호 종목 사적 제186호 명칭 경주 정강왕릉 (慶州 定康王陵)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왕실무덤/ 고대 수량 35,702㎡ 지정일 1969.08.27 소재지 경북 경주시 남산동 산53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 경주시 설명 경문왕의 둘째 아들인 신라 제50대 정강왕(재위 886∼887)의 무덤이다. 정강왕은 형인 헌강왕에 이어 886년 7월에 왕위에 올랐으나 887년 7월에 병으로 죽어 왕위에 있던 기간이 만 1년밖에 되지 않았다. 무덤의 외형은 흙으로 덮은 둥근 형태로, 무덤을 보호하기 위해 밑둘레에 3단으로 돌을 쌓았다. 그 중 제일 밑단만이 밖으로 약간 나왔으며, 무덤 앞에는 돌단이 있는데, 그 위에 돌로 만든 작은 제삿상이 있다. 무덤의 구조는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