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
귀래정 (歸來亭)-원이 엄마의 사랑이야기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0. 11:00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 1동 지정일 1985.08.05 소재지 경북 안동시 옹정골길 19-8 (정상동) 소유 문중 관리 이만용 문화재 설명 귀래정은 이굉(1414∼1516)이 조선 중종 8년(1513) 벼슬에서 물러나 안동으로 온 후 지은 정자이다. 도연명의 ‘귀거래사’라는 글의 뜻과 너무나 닮아 그것으로 정자의 이름을 삼았다고 한다. 이굉은 25세 때 과거에 합격하여 여러 벼슬을 지내다가 권력 다툼에 걸려들어 귀양을 가기도 하였다. 귀래정은 앞면 2칸·뒷면 4칸 규모의 T자형 건물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마루 주위를 제외한 다른 곳의 기둥은 각이 있고 창문에 쐐기 기둥이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곳에는 이현보·이우·이식·윤훤 등..
-
울진 대풍헌 소장 문서 (蔚珍 待風軒 所藏 文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5. 08:54
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수량 2점 지정일 2006.06.29 소재지 경상북도 울진군 소유 구*** 관리 구*** 문화재 설명 대풍헌 소장 문서들은 울릉도를 순찰하는 수토사들의 접대를 위해 소요되는 각종 경비를 전담했던 구산동민들의 요청에 따라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책에 대해 관아(평해군)에서 결정해준 내용의 완문(完文)과 절목(節目)이다. 완문(完文)의 크기는 가로 27.5× 세로 29cm이다. 수토절목(搜討節目)의 크기는 가로 33× 세로 42.1cm이다. 완문과 수토절목의 내용을 살펴보면, 삼척진영 사또와 월송만호가 3년에 한 번씩 울릉도를 수토할 때 평해 구산리(구산항)에서 출발하는데 바람의 형편에 따라 머무는 기간이 길어지기도 하였다. 관아에서는 구산리 주변 9개 마을에 돈을 풀어..
-
울진 소광리 황장봉계 표석 (蔚珍 召光里 黃腸封界 標石)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4. 19:22
소광리 황장봉계표석 전경(상면)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석각류 수량 1기 지정일 1994.09.29 소재지 경상북도 울진군 금강송면 소광리 산 262 소유 국유 관리 울진군 문화재 설명 봉산(封山:나라에서 일반인들이 나무 베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의 경계를 표시한 표석이다. 황장봉산제도는 조선 숙종 6년(1680)에 처음 시작되었는데 이후 계속해서 여러 지역으로 확대, 지정되었다. 이 제도는 양질의 소나무인 황장목을 확보하기 위해 황장목이 있는 지역을 ‘봉산(封山) ’이라 지정하고 일반인들의 접근을 막았던 일종의 산림보호 정책이었다. 이 봉계표석은 자연석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높이는 195㎝ 정도이다. 앞면에 새긴 표석의 내용은 황장목의 봉계지역은 생달현, 안일..
-
울진 내성행상 불망비 (蔚珍 乃城行商 不忘碑)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4. 15:36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2기 지정일 1995.06.30 소재지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 206-1번지 시대 27년경(1890년경) 소유 두천리동회 관리 두천리동회 문화재 설명 옛날 보부상 단체들의 우두머리인 접장과 반수를 지낸 정한조와 권재만의 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봉화사람 접장 정한조와 안동사람 반수 권재만은 울진과 봉화를 오가며 어류와 소금, 해조류 등을 쪽지게에 지고 가서 물물교환으로 팔았던 상인들의 상거래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들의 공을 잊지 못한 상인들이 은공을 기념하고자 조선 고종 27년(1890) 경에 이 비를 세웠다. https://youtu.be/sAxw-62Bzqg https://youtu.be/sAxw-62Bzqg?t=1050
-
나성 독락정 (羅城 獨樂亭)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4. 10:59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면적 1동/72.3㎡ 지정일 2012.12.31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101 소유 부안임씨전서공파종중 관리 임무길 개별안내판 개별안내판 나성 독락정 羅城 獨樂亭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나성 독락정은 임난수林蘭秀 장군의 아들 임목林穆이 아버지가 절의1)를 지킨 뜻을 기리고 기억하기 위해 지었다는 정자이다. 조선 1437년(세종 19년)에 처음 지었으며, 이후 여러 번 고쳐 지었다. 임난수 장군은 고려 때 전서2)의 벼슬을 지낸 장군으로, 탐라(제주) 지역의 몽골 세력 토벌에 큰 공을 세웠던 인물이다. 그는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뜻을 품고 벼슬을 거절하였다. 이후 그는 공주목 삼기촌(현 세종시 연기면)..
-
의령 안희제 생가 (宜寧 安熙濟 生家)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2. 12:00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탄생지 수량 2동 지정일 1993.01.08 소재지 경남 의령군 부림면 입산로2길 37 (입산리) 시대 의령 안희제 생가는 초창연대가 17세기 이후로 추정되는 건축물로 안희제가 기존 생가가 낡고 오래되어 1915년에 직접중수하였다. 소유 안*** 관리 의*** 개별안내판 의령 안희제 생가 宜寧 安熙濟 生家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93호 의령 안희제 생가는 1885년 안희제가 태어난 곳이다. 안희제 생가 안채와 사랑채, 대문채 등 3동으로 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 6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옆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기와 건물이다. 왼쪽에서부터 마루, 방, 큰 마루, 방, 부엌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랑채는 앞면 4칸 규모의 초가 건물로 안채..
-
청평사삼층석탑 (淸平寺三層石塔)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 16:35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84.06.02 소재지 강원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산189-2번지 소유 청평사 관리 청평사 문화재 설명 청평사 입구의 환희령이라는 언덕 위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일반적으로 탑은 사찰의 중심건물인 금당 앞에 세우는데 이 탑은 사찰 길목의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홀로 서 있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기둥 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네 모서리가 들려 있어 날렵한 감을 주며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아담하면서도 안정감이 드는 탑으로,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청평사가 고려 광종 24년(973)에 창건된 사실로 볼 때 고려 전기에 세운 ..
-
수덕사유물(거문고) (修德寺遺物(거문고))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0. 30. 19:13
분 류수량/면적지정(등록)일소 재 지소유자(소유단체)관리자(관리단체) 분류 유물 / 과학기술 / 놀이유희용구 / 악기 수량 1점 지정일 1984.05.17 소재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번지 소유 대한불교조계종제7교구본사수덕사 관리 대한불교조계종제7교구본사수덕사 문화재 설명 수덕사에 있는 거문고로 만공스님께서 고종의 둘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에게 받은 것이다. 이조묵(李祖默)이 새긴 공민왕금(恭愍王琴) 이라는 글씨와 함께 만공 스님의 시가 새겨 있다. https://youtu.be/l-K3MJvQi3I https://youtu.be/l-K3MJvQi3I?t=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