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
산청남사리최씨고가 (山淸南沙里崔氏古家)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8. 21:48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5동 지정일 1985.01.23 소재지 경남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285번지 소유 최준석 관리 최준석 문화재 설명 남사마을 중앙에 자리잡은 가장 큰 집으로 안채와 외양간채?【아래채 혹 광채】, 사랑채가 안채를 중심으로 ㅁ자형 평면을 갖추고 있으며 1930년대 지은 집이다. 안채는 앞면 6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뒤쪽 툇마루의 폭이 커서 각 방 뒤편으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벽장을 두었다. 부엌과 건넌방 뒤에는 따로 방을 만들었다. 동향한 아래채는 앞면 4칸·옆면 2칸으로 지붕은 앞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으로 꾸몄다. 남쪽에 개방된 대청이 있고 이어 온돌방을 두었다. 광채..
-
산청남사리이씨고가 (山淸南沙里李氏古家)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8. 21:35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4동 지정일 1985.01.23 소재지 경남 산청군 단성면 지리산대로2883번길 16 (남사리) 소유 이*** 관리 강*** 개별안내판 산청 남사리 이씨고가 山淸 南沙里 李氏古家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18호 산청 남사리 이씨고가는 남사마을에서 가장 오래된 집으로 1700년대에 세운 전통적인 남부 지방 사대부 가옥이다. 남북으로 긴 대지에 사랑채, 외양간채, 곳간채가 안채를 중심으로 ‘口’ 자 모양이다. 안채는 앞면 7칸, 옆면 3칸 규모이며, 남부 지방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일(一) 자 모양의 건물이다. 사랑채는 앞면 4칸, 옆면 3칸 규모이며, 안채와 앞뒤로 나란히 있다. 일반적으로 사랑채는 바깥주인이 살며 손님을 접대하는 공간이나, 이씨고가의 ..
-
태고사 대웅전 (太古寺 大雄殿)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8. 11:47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 1동 지정일 1984.05.17 소재지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512-1 소유 대한불교조계종 태고사 관리 대한불교조계종 태고사 문화재 설명 태고사는 신라 신문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절터를 본 원효대사(元曉大師)가 너무 기뻐 3일 동안 춤을 추었다고 할만큼 주변 경관이 빼어나다. 고려시대에 태고화상(太古和尙)이 중창하였으며, 조선시대에 진묵대사(震黙大師)가 재건하였다고 한다. 또한 조선시대의 학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수학하였던 곳으로 유명하다. 경내의 건물은 1950년 한국전쟁 때 소실된 것을 1976년 무량수전, 관음전 등과 함께 대웅전을 복원하였다. https://youtu.be/YD3fjfU1qHg?t=3094
-
조해영가옥 (趙海英家屋)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4. 13:04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6.09.08 소재지 전북 익산시 함라면 수동길 8 (함열리) 소유 조*** 관리 조*** 문화재 설명 안채 1동과 별채 1동, 문간채가 남아 있는데 원래 안채를 비롯하여 여러 채가 배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안채는 건물에 기록된 글로 미루어 1918년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별채는 안채보다 조금 늦은 1922년경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안채와 별채는 둘 다 남북으로 길게 평행을 이루어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남쪽을 향하고 있고 별채는 서쪽을 향하고 있다. 안채와 별채에 둘러 쌓인 지역을 빼고는 담도 없이 거의 텃밭을 경작하고 있다. 별채 동편 울 밖에 김육(1580∼1658)의 선정비가 서 있고 울 안에 2개의 비가 가로 놓..
-
두동교회구본당 (杜洞敎會舊本堂)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4. 11:47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개신교 / 교회 수량 1동 지정일 2002.04.06 소재지 전북 익산시 성당면 두동길 17-1 (두동리) 시대 1929년 소유 두동교회재단 관리 두동교회재단, 익산시 개별안내판 두동교회 구 본당 杜洞敎會 舊 本堂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이 건물은 1929년에 건립한 두동교회의 초기 본당이다. 두동교회는 1923년에 마을 부호 박재신의 사랑채에 예배소가 들어서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29년에 교인들이 현재의 자리에 ㄱ자형 한옥식 교회를 지었다. 익산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건물로 1964년 현 예배당이 건립될 때까지 본당으로 사용되었고, 지금은 두동교회의 역사를 보여주는 사진 자료를 전시해 놓았다. 평면은 ‘ㄱ’자 형인데 이것은 유교적 관습에 따라 남녀의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
구 탑골공원 정문 (舊 塔-公園 正門)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2. 05:52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수량 정문 기둥 4基, 토지 2.8㎡ 지정일 2017.02.09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177-1 177-1, 180-3 소유 서울대학교 관리 서울대학교 문화재 설명 탑골공원은 고려시대 흥복사, 조선시대 원각사가 있던 자리였으며, 대한제국 시대에 문을 세우고 서울 최초의 도시공원인 파고다 공원으로 정비하게 되었다. 은 1910~1913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1967년 공원 정비 당시 서울대학교 법대 정문으로 이전(1969 실시)되어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의 정문으로 이용되고 있다.
-
안동 지촌종택 (安東 芝村宗宅)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0. 11:53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6동 지정일 2017.05.15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지례예술촌길 427 (임동면) 소유 김원길 관리 김원길 문화재 설명 의성 김씨 김방걸(1623∼1695)의 종가이다. 김방걸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대사간과 대사성 등의 벼슬을 지낸 분이다. 헌종 4년(1663)에 지었고 지금 있는 자리보다 아래쪽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1985년 옮긴 것이다. 본채와 곳간, 문간채, 방앗간 등과 조상의 위패를 모신 사당, 별묘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이 있는 문간채를 들어서면 마당을 지나 앞쪽에 본채가 있다. 본채는 앞면 5칸·옆면 5칸 규모로 ㅁ자 평면을 갖추고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건물 배치에서 조선시대 전형..
-
지산서당 (芝山書堂)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23. 11. 10. 11:28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당 수량 1동 지정일 1985.08.05 소재지 경북 안동시 임동면 지례예술촌길 390 (박곡리) 소유 김*** ㅅ\관리 김*** 문화재 설명 지촌 김방걸 선생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김방걸(1623∼1695) 선생은 현종 1년(1660)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많은 관직을 지냈다. 지산서당은 정조 24년(1800)에 지었으나 고종 때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 그 뒤 1926년에 복원하였으며, 1988년 임하댐 건설로 지금 있는 자리에 옮겨 세웠다. 서당 건물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의 一자형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