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릉 경포대 (江陵 鏡浦臺)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7. 3. 16:58
보물 제2046호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수량 1동 지정일 2019.12.30 소재지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 365 (저동, 경포대)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강릉시 관리자 강릉시 「강릉 경포대」는 1326년(고려 충숙왕 13) 창건 이후 한차례 이건과 수차례 중수 기록이 대부분 자세히 남아있으며, 특히 창건 이전의 기록도 남아있어 경포대의 시대별 변화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정면 5칸, 측면 5칸의 대형 정자임.
고려 중기 김극기의 「경포대」라는 시와 「강릉팔영」, 그리고 고려 말 안축의 「관동팔경」, 그리고 조선시대 송강 정철의 「관동팔경」등 지역 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시인 묵객들이 경포대를 찾아 자연 풍광을 음미하며 학문을 닦고 마음을 수양했던 유서 깊은 장소임.
경포대는 일반 누정과 달리 내부 공간의 특성에 따라 의미를 부여한 마루를 기능에 따라 3단으로 구성하였으며, 누마루를 2단으로 구성한 것은 유례가 없으며, 특히 가장 높은 누마루의 형태가 머름대 형식을 취했고 아래의 누마루는 계자난간을 가설한 형식 또한 유례가 없는 독특한 구성임.
* 머름대: 창문 아래 높은 문지방인 머름 밑에 가로 지른 나무
* 계자난간: 위로 올라갈수록 밖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난간으로 계자다리(鷄子多里)가 난간대를 받치고 있음.
이와 같이 시대적 상황을 공간과 해당 부재가 흔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포대는 조선시대의 것뿐만 아니라 근현대사의 과정을 모두 담고 있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조선후기의 정자로서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함.문화재청 자료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화 한수정 (奉化 寒水亭)-Hansujeong Pavilion, Bonghwa (0) 2020.07.03 김천 방초정 (金泉 芳草亭)-보물 제2047호 (0) 2020.07.03 고창 선운사 만세루 (高敞 禪雲寺 萬歲樓)-보물 제2065호 (0) 2020.06.29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 (海南 大興寺 西山大師塔)-보물 제1347호 (0) 2019.09.15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보물제1973호 (0) 20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