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雁鴨池 出土 金銅板 佛像 一括)-보물 제147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7. 2. 2. 14:11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雁鴨池 出土 金銅板 佛像 一括)
보물 제1475호
종목
보물 제1475호
명칭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雁鴨池 出土 金銅板 佛像 一括)
분류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불상
수량
10점
지정일
2006.09.01
소재지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통일신라
소유
국유
관리자
국립경주박물관
일반설명
안압지 출토의 삼존불상 등 판불상 10점은 조각수법이 우수하고 상들의 표현이 사실적이며 입체감이 두드러진다. 양식적으로는 7세기 말 통일신라와 중국, 일본을 포함한 국제적인 조각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특히, 도상이나 양식면에서 일본 법륭사 헌납보물에 있는 판불들이나 법륭사 금당 서벽 아미타정토의 본존불상과도 비교된다. 둥글고 통통한 얼굴과 자연스러운 옷주름 처리에 보이는 조각의 사실적인 표현은 중국 당(唐)시대 전성기 불상양식을 반영하면서도 7세기 후반 통일신라 불교조각의 뛰어난 표현력을 잘 대변해준다. 이 10점의 상들은 하나의 삼존불상과 4보살상이 한 세트로 두 종류의 소형목제 불감과 같은 구조물에 부착되어 예배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조기법 및 기량이 뛰어난 10점의 안압지 출토 판불상들은 7세기 말 통일신라 초기에 새로이 유입되는 국제적인 조각양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예들로서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며, 당시 한 · 중 · 일 불교조각의 양식비교 및 전파과정과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雁鴨池 出土 金銅板 佛像 一括)
금동판보살좌상(金銅板 菩薩坐像)
문화재 정식명칭과 너무 다르다.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산 통도사 영산전 (梁山 通度寺 靈山殿)- 보물 제1826호 (0) 2017.02.10 대구 무술명 오작비 (大邱 戊戌銘 塢作碑)-보물 제516호 (0) 2017.02.04 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慶州 月池 金銅燭鋏)-보물 제1844호 (0) 2017.02.02 청동 옻칠 발걸이 (靑銅黑漆壺鐙)-보물 제1151호 (0) 2017.02.02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感恩寺址 西三層石塔 舍利莊嚴具)-Reliquaries from the West Three-story Stone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보물 제366호 (0) 2017.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