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신라 전기의 석탑양식을 볼 수 있는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국보 제77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4. 11. 24. 17:16
통일신라 전기의 석탑양식을 볼 수 있는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국보 제77호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국보 제77호 종목
국보 제77호 명칭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의성군 금성면 오층석탑길 5-3 (탑리)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국유,의성군 설명
탑리리 마을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5층 석탑이다. 낮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전탑(塼塔)양식과 목조건축의 수법을 동시에 보여주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단은 여러 개의 돌로 바닥을 깐 뒤, 목조건축을 본떠 가운데기둥과 모서리기둥 모두를 각각 다른 돌로 구성하였다. 탑신은 1층이 높으며 2층부터는 높이가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는데, 1층 몸돌에는 불상을 모시는 방인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지붕돌은 전탑에서 보이는 모습처럼 밑면 뿐만 아니라 윗면까지도 층을 이루고 있는데 윗면이 6단, 아랫면이 5단이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어 목조건축의 지붕 끝을 떠올리게 한다.
각 부분에서 목조건축의 양식을 응용하는 한편, 곳곳에서 전탑의 조성기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러한 독특한 특징으로 인해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제30호)과 함께 통일신라 전기의 석탑양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국보 제77호 가는 날이 장날 멀리서 왔구만 보수중이라 들여다볼 수 없었다.
장막에 인쇄된 모양으로 짐작
참고 : http://blog.daum.net/shinh-k791104/1072
문화재청자료
'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제 금산사 미륵전 (金堤 金山寺 彌勒殿)-국보 제62호 (0) 2015.01.08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佛國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국보 제126호 (0) 2014.11.26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국보 제106호 (0) 2014.11.24 무령왕비 금제관식 (武寧王妃 金製冠飾)-국보 제155호 (0) 2014.06.09 무령왕 금제관식 (武寧王 金製冠飾)-국보 제154호 (0) 201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