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흰무릇-[정명]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f. f. albiflora (Satake) Yonek.식물/들꽃-백합과(Liliaceae) 2024. 8. 21. 22:19
과명 Engler- Liliaceae (백합과)APG Ⅳ- Asparagaceae (비짜루과) 속명 Barnardia (무릇속) 전체학명 [정명]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f. f. albiflora (Satake) Yonek. 추천명 흰무릇 영문명 White-flower squill 분포
수원 근처에서 자란다.
생육환경
▶들에서 자란다.
▶해가 잘 드는 곳에서도 재배할 수 있으나 반그늘진 곳이 좋다. 토질은 보수력이 있는 다소 습한 땅이 좋으며 토심이 깊고 유기질이 많은 비옥한 땅이 좋다.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꽃대는 높이 20-50cm이다.
잎
잎은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2개씩 나오고 길이 15-30cm, 폭 4-6cm로서 약간 두꺼우며 표면은 수채처럼 파지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여러 잎이 근생한다.
꽃
꽃은 7-9월에 피고 꽃대는 높이 20-50cm로서 끝에 길이 4-7cm의 총상꽃차례가 달리며 꽃차례는 길이 12cm이다. 포는 길이 1-2mm로서 좁은 피침형이고 꽃자루는 길이 5-12mm이며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이고 거꿀피침모양으로 길이 약 3mm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가늘지만 밑부분이 넓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타원형으로서 잔털이 3줄로 돋는다.
열매
삭과는 길이 5mm로서 도란상 구형이고 종자는 넓은 피침형이다.
뿌리
비늘줄기는 난상 구형이며 길이 2-3cm이고, 외피는 흑갈색이다. 수염뿌리가 내린다.
번식방법
▶종자와 뿌리로 번식한다.
1.종자: 익으면 채종하여 땅에 가매장했다가 다음해 봄 4월에 파종한다.
2.뿌리: 자연분구가 되는 만큼 늦가을이나 이른 봄 싹트기 전에 깊이 파서 뿌리를 상하지 않게 하여 자연분구된 것을 어미뿌리와 따로 크기대로 분류해서 10cm간격으로 심는다.재배특성
다비성이므로 밑거름을 충분히 넣고 깊이 갈아엎은 뒤에 심는다. 무릇은 비늘줄기가 깊이 들어가는 성질이 있다. 다른 식물처럼 잎을 베고 나면 봄에는 다시 잎이 돋아나지 않으므로 광합성을 할 수 없어 비늘줄기가 사그라지는 경우가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식물자원 > 식물도감 > 이름으로찾기 (nature.go.kr)
'식물 > 들꽃-백합과(Liliacea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fieldia nuda Maxim. var. nuda (0) 2024.08.27 Polugonatum oboratum var. pluriflorum (0) 2024.08.26 자주솜대-[정명]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0) 2024.07.24 죽대-[정명]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0) 2024.07.23 노랑참나리-[정명] Lilium lancifolium var. flaviflorum Makino (0)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