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주솜대-[정명]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식물/들꽃-백합과(Liliaceae) 2024. 7. 24. 21:29
과명 Engler- Liliaceae (백합과)
APG Ⅳ- Asparagaceae (비짜루과)속명 Maianthemum (두루미꽃속) 전체학명 [정명] Maianthemum bicolor (Nakai) Cubey 추천명 자주솜대 비추천명 자주솜때,자주지장보살,차색솜죽대 외국명 Purple-flower solomon’s seal, エビチャザサ 분포
한국(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정선군, 평창군, 홍천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무주군; 경상북도 영주시; 경상남도 산청군)
생육환경
백두산지역에서는 분비 및 잣나무 밑에서 자란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이다.
크기
높이 30-45㎝
잎
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6-11㎝, 폭 2.5-5㎝로서 밑부분이 갑자기 밑으로 흘러 짧은 엽병으로 되고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 맥위에 잔돌기가 약간 있다.
꽃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4.5-5mm이며 끝의 총상꽃차례는 간혹 1개 정도 가지가 갈라지고 꽃이 달린 부분은 길이 4-4.5㎝로서 돌기가 없다. 포는 길이 1mm정도로서 갈색이며 꽃자루는 길이 3-7mm이고 옆으로 퍼진다. 화피열편은 타원형이며 예두이지만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기도 하고 길이 2mm정도로서 처음에는 황색이지만 자줏빛이 도는 흑색으로 되며 점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으며 씨방은 3실로서 둥글고 암술대는 뭉툭하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서 둥근 모양이고 다갈색이다.
줄기
높이 30-45cm로서 줄기 밑부분에서 2-3개의 초상엽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끝에 5-7개의 잎이 2줄로 달린다.
뿌리
굵은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보호방안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1990년 이후 자생지가 알려졌다. 20여 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풍부하다. 기후변화 및 식생천이에 의한 자생지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특징
▶지리산 반야봉 정상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https://youtu.be/pknaldJGsY8?t=150
'식물 > 들꽃-백합과(Liliacea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lugonatum oboratum var. pluriflorum (0) 2024.08.26 흰무릇-[정명] Barnardia japonica (Thunb.) Schult.f. f. albiflora (Satake) Yonek. (0) 2024.08.21 죽대-[정명]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0) 2024.07.23 노랑참나리-[정명] Lilium lancifolium var. flaviflorum Makino (0) 2024.07.22 좀비비추-[정명] Hosta minor (Baker) Nakai (0) 2024.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