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靑瓦臺)잡상(雜像)나의 문화재 이야기 2022. 7. 3. 14:28
2022.06.20 청와대를 구경했다.
참 궁금하기도 했다.
자세히 보고자 했지만 쉽지 않았다.
밀려다녀야 해서 한 군데 오래 있지 못했다.
잡상(雜像)
한국의 잡상 | 월간문화재사랑 상세 - 문화재청 (cha.go.kr)
경복궁이나 창덕궁과 같은 궁궐 건축을 보면 지붕 위에 흙으로 구워 낸 작은 동물 형상들이 놓여 있는데, 이들이 바로 ‘잡상(雜像)’이다.
우리 옛 건축은 나무를 다듬어 만든 목조건축이어서 화재에 취약하다. 때문에 건물이 화재로부터 안전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여러 상징적인 장치를 해두었다. 잡상도 그 가운데 하나로 불기운과 잡귀를 물리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잡상은 임금과 관련된 건축물에 사용되었는데, 경복궁의 경우 광화문, 흥례문, 근정문과 같이 임금이 출입을 하거나, 근정전, 사정전, 대조전과 같이 임금이 집무를 보고 잠을 자는 건물에 사용되었다. 그 수량도 다양하여 적게는 3개에서 시작하여 홀수 단위로 놓이되 많게는 11개 까지 놓인다. 현재는 경복궁 경회루 지붕 내림마루의 잡상이 11개로 가장 많다.
조선시대 주요 궁궐 건축의 건립 과정을 기록한 영건의궤(營建儀軌)에 의하면 잡상을 제작하는 전문 장인인 ‘잡상장(雜象匠)’을 둘 정도로 잡상은 매우 전문화된 분야였다.
잡상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보이는 17세기 의궤에 따르면 손행자, 손행자매, 준견, 준구, 마룡, 산화승, 악구 등으로 잡상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얼핏 보면 사람 같기도 하고 동물 같기도 한 잡상은 시간이 흐르면서 뭇사람들의 이목을 끌게 되었고, 좀 더 친근한 명칭을 갖게 된 듯하다. 20세기 초에 간행된 자료에는, 조선 후기에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민간에 널리 알려졌던 소설인 서유기(西遊記)의 등장인물을 따라 잡상의 이름을 명명하였다. 대당사부, 손행자, 저팔계, 사화상, 이귀박, 이구룡, 마화상, 삼살보살, 천산갑 등의 기록이 그것이다. 나쁜 요괴를 물리치고 불법을 수호하면서, 사회의 부조리한 측면을 파헤치는 손오공, 저팔계가 활약했듯이 잡상에 이들의 이름을 붙임으로써 잡귀를 물리쳐 건물이 오래가기를 기원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잡상은 ‘어처구니’로도 알려져 있는데, ‘어처구니’는 ‘상상 밖의 큰 사람이나 사물’을 뜻하므로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궁궐 수호의 마스코트 잡상 | 문화재 칼럼·기고 상세 - 문화재청 (cha.go.kr)
어처구니
‘없다’와 함께 쓰여, 뜻밖이거나 한심해서 기가 막힘을 이르는 말.
- 어이주로 ‘없다’와 함께 쓰여, 뜻밖이거나 한심해서 기가 막힘을 이르는 말
思おもいもよらぬほど大おおきな人ひとや物もの.-생각도 못할 만큼 대단한 사람과 물건
1. 근정전의 잡상
7개
2. 근정문의 잡상
7개
3.. 수정전의 잡상
6개
4. 명정전의 잡상
5개
5. 경회루의 잡상
11개
6. 청와대의 잡상
본관 11개
본관앞 우측 건물 7개
청와대 현관 5개
관저 인수문에는 없다.
관저에는 7개
1.대당사부, 2.손행자, 3.저팔계, 4.사화상, 5.이귀박, 6.이구룡, 7.마화상, 8.삼살보살, 9.천산갑
'나의 문화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소정(蓮沼亭) 문화재 지정이 마땅하다. (0) 2022.09.12 용수교와 까치구멍집 (0) 2022.07.29 수인 (0) 2022.06.07 문화재 번호 여기서는 좀 생각해봐야 (0) 2022.02.17 해미향교 앞 느티나무 군락은 문화재 가치가 충분하지 않은가? (0)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