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주 청량사지 오층석탑 (公州 淸凉寺址 五層石塔)-Five-story Stone Pagoda at Cheongnyangsa Temple Site, Gongju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10. 17. 14:02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98.09.15 소재지 충남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346 (학봉리) 소유자 동학사 관리자 동학사
청량사터에는 칠층석탑과 오층석탑 등 2기의 석탑이 남아 있는데, 이 두 탑을 가리켜 오누이탑 혹은 남매탑이라 부르기도 한다. 옛날에 상원이라는 승려가 어려움에 처한 호랑이를 구해주자, 호랑이는 이에 대한 보답으로 처녀를 업어다 주었다. 상원은 처녀와 남매로서의 관계만을 유지하며 수도에 정진하였고, 처녀의 아버지가 그 갸륵한 뜻을 기려 두 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이 탑은 그 중 오층석탑으로,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얹은 모습이다.
바닥돌과 그 위에 둔 기단의 아랫돌은 각 4장의 돌로 짰다. 특이한 점은 기단의 가운데기둥을 별도의 돌로 끼워두었다는 것이다. 탑신의 각 층 지붕돌은 얇고 넓어서 균형과 안정감을 잃고 있다. 1·2층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2단인데, 모두 딴 돌을 끼워넣은 구조이다. 3·4층의 몸돌과 지붕돌은 따로 한 돌씩이며, 4층의 지붕돌받침은 아래층들과 달리 1단의 돌로 만들어져 있다. 4층 지붕돌 위에 5층 몸돌이 있으나, 지붕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둥근 머리장식이 남아 있다.
전체적인 수법으로 보아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서천 성북리 오층석탑(보물)으로 이어지는 백제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일부 없어진 부분이 있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과감하게 생략된 부분이 있고, 세부적인 조각수법이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시대에 와서 한 절에 각기 특징있는 두 가지 유형의 백제탑을 세운 것은 역사적, 미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다음 로드뷰로 본 것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서울 淸進洞 出土 白磁壺) (0) 2021.11.07 공주 청량사지 칠층석탑 (公州 淸凉寺址 七層石塔)-Seven-story Stone Pagoda at Cheongnyangsa Temple Site, Gongju (0) 2021.10.17 공주 갑사 대웅전 (公州 甲寺 大雄殿) (0) 2021.10.17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無量寺 彌勒佛 掛佛幀) (0) 2021.10.11 송시열 초상(宋時烈 肖像) (0) 202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