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ngyeong
-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聞慶 鳳巖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and Excavated Relics of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23. 19:22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수량 불상 1구, 복장유물 14건 26점 지정일 2012.02.22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옥천길 59-6 (가은읍) 시대 1586년(선조 19) 소유자 봉암사 관리자 봉암사 문화재 설명 봉암사 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51.5㎝로 비교적 크기가 작은 편인데,복장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1586년(선조 19)에 나운(蘿雲)과 법정(法正), 두 화원에 의해 조성된 불상임을 알 수 있어 임진왜란 직전 16세기 후반의 불교조각과 조각승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머리에는 크고 날카롭게 뻗친 나발을 부착하였으며, 나발 사이에는 큼직한 반달형의 중앙계주와 둥근형태의 정상계주를 나타내었다. 얼굴은 둥글고 통통하게 살이 잡혀 복스럽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보여준다. 어..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碑)Stele of Buddhist Monk Jeongjin at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17. 21:13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1-2번지 봉암사 시대 고려시대 소유 봉암사 관리 봉암사 문화재 설명 봉암사에 자리잡고 있는 고려전기의 탑비로 봉암사를 중흥한 정진대사의 것이다. 정진대사(878∼956)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승려로, 효공왕 4년(900) 당나라에 들어가 25년간 유학하고 경애왕 1년(924)에 돌아와 신라 경명왕의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고려 태조 18년(935)에는 봉암사를 두번째로 크게 짓고, 불교의 중흥에 이바지하기도 하였다. 특히 고려 전기의 태조·혜종·정종을 선문(禪門)에 들게 한 장본인으로, 79세의 나이로 입적하자 왕은 ‘정진’이라는 시호와 ‘원오’라는 탑이름을 내리었다. ..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Stupa of Buddhist Monk Jijeung at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17. 21:05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시대 통일신라 헌강왕8년(883) 소유 봉암사 관리 봉암사 문화재 설명 지증대사의 사리를 모신 탑으로 봉암사 대웅전 왼쪽에 서 있다. 지증대사(824∼882)는 이 절을 창건한 승려로, 17세에 승려가 되어 헌강왕 7년(881)에 왕사로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봉암사로 돌아와 이듬해인 882년에 입적하였다. 왕은 ‘지증’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 이름을‘적조’라 하도록 하였다. 이 탑은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基壇部)를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다. 기단은 2단으로 이루어졌으며 평면 모양은 8각이다. 밑 ..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Stupa of Buddhist Monk Jeongjin at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16. 18:57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산1-1번지 봉암사 시대 고려 광종 16년( 965) 소유 봉암사 관리 봉암사 문화재 설명 봉암사에 있는 정진대사 긍양의 사리탑으로, 경내에서 벗어나 사찰 입구 북쪽 산중턱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경승지를 택해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정진대사(878∼956)는 통일신라 효공왕 원년(897)에 개초사에서 수도한 후, 효공왕 3년(899)에 당에 다녀왔다가 경애왕 원년(924)에 귀속하여, 백암사를 거쳐 봉암사에 와서 이 절을 크게 번영시켰다.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는 이 탑은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 곳곳에 꽃무늬조각과 구름·용·연꽃무늬 등의 불교 세계를 상징하는 각종 장식을..
-
문경 봉암사 극락전 (聞慶 鳳巖寺 極樂殿)-Geungnakjeon Hall of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16. 18:35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 1동 지정일 2008.09.03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원북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봉암사 관리 봉암사 개별안내판 문경 봉암사 극락전 聞慶 鳳巖寺 極樂殿 문경 봉암사 극락전은 신라 헌강왕 5년(879)에 건립되었다. 신라와 후백제의 전쟁 때 신라 경순왕이 이곳에 피난을 와서 원당*으로 사용했다고 전한다. 이후 고려 태조 18년(935)에 정진 대사가 고쳐 지었다. 현재의 봉암사는 임진왜란 때 거의 모든 건물이 불에 타버렸다가 이후 복원한 모습인데, 이곳 극락전과 일주문만은 소실되지 않았다고 한다. 문경 봉암사 극락전은 처마가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목탑형 양식의 전각이다. 현재 봉암사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기단..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Stele of Buddhist Monk Jijeung at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국보 2023. 12. 16. 18:25
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수량 1기 지정일 2010.01.04 소재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시대 924년 소유 봉암사 관리 봉암사 개별안내판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국보, 경상북도 문경시 가온읍 원북리 485 이 비(碑)는 신라말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봉암사를 처음 건립한 지증대사(智證大師)의 공적을 찬양하기 위해 신라 경애왕(景哀王) 원년(924)에 건립되었다. 비문은 신라 말의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지었으며, 글씨는 분황사의 승려 석혜강(釋慧江)이 썼다. 용 모양의 비머리(螭首)와 귀부(龜趺)를 완전히 갖춘 비석으로 귀두는 용두형화(龍頭形化) 되었으며 사산비문(四山碑文)으로 널리 알려진 비이다. 지증대사는 속성이..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聞慶 鳳巖寺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of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16. 18:20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원북길 313 (가은읍, 봉암사)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 봉암사 관리 봉암사 문화재 설명 봉암사에 자리잡고 있는 3층 석탑이다. 탑은 건물의 댓돌에 해당하는 기단부(基壇部), 탑의 중심이 되는 탑신부(塔身部), 꼭대기의 머리장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통일신라의 석탑은 기단이 2단이나, 현재 땅 위로 드러나 있는 이 탑의 기단은 1단이다. 특이한 것은 지면과 맞닿아 있어야 할 탑의 받침돌 밑면에 또 하나의 받침이 있어 혹시 이것이 아래층 기단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그러기에는 너무 넓어 보인다. 또 하나의 특징은 머리장식 모두가 완전히 남아 있어서 한국 석탑의 기준이 되는 귀중한 유례라는..
-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聞慶 鳳巖寺 磨崖彌勒如來坐像)-Rock-carved Seated Maitreya Bodhisattva of Bongamsa Temple, Mungyeong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3. 12. 3. 19:13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수량 1좌 지정일 2021.01.05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시대 조선시대(1663년(현종 4)) 소유 대*** 관리 대*** 개별안내판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鳳巖寺 磨崖彌勒如來坐像 보물 제2108호 봉암사 마애보살좌상은 17세기에 조각된 것으로 전해지며 관련 기록에서는 환적 의천 선사 幻寂 義天. 1603~1690의 願佛이라 한다. 높이 4.5m 폭 4.4m로 국내 마애불 중 비교적 큰 편이다. 머리 주위는 약간 깊게 파서 광배를 겸하는 듯하게 조각하였고, 불상을 모시는 방인 감실처럼 만들었다. 머리는 입체적으로 조각하였으나 몸체는 선으로 가늘게 새겨 조각 수법이 다르다. 머리에 쓰고 있는 보석 왕관의 중앙에는 꽃무늬가 있고, 오른손은 위로 들어 연꽃 가지를 들고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