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선운사
-
고창 선운사 석상암 산신도 (高敞 禪雲寺 石床庵 山神圖)-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3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20. 12. 8. 12:57
분류 유물 수량 1점 지정(등록)일 2014.10.31 소재지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로 250 (아산면, 선운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자 선운사 고창 선운사 석상암 산신도는 1847년 정미년(丁未年)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되는데 색채가 안정적이며 조화로운 필치와 호랑이의 움직임 자연스럽고 산신의 상호 표현이 뛰어난 수작(秀作)으로 평가된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31호 고창 선운사 석상암 산신도 (高敞 禪雲寺 石床庵 山神圖) | 국가문화유산포탈 | 우리지역 문화재 (heritage.go.kr) 성보박물관을 빨리 코로나19
-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懺堂庵 石造地藏菩薩坐像)-보물 제2031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7. 4. 16:03
보물 제2031호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수량 상 1구, 대좌 1기 지정일 2019.06.26 소재지 전라북도 고창군 시대 고려 말~조선 초 소유자 선*** 관리자 선*** ‘고창 선운사 참당암 석조지장보살좌상’은 고려 말~조선 초에 유행한 두건을 쓴 지장보살좌상으로, 특히 불교회화에서 많이 그려진 도상이다. 온화한 표정과 불룩한 입술, 양쪽에서 드리워져서 여의두(如意頭) 형태로 마무리 진 띠 장식, 둥근 보주(寶珠)를 든 모습, 그리고 가슴에 들려진 띠 매듭 등은 고려 말기 보살상 양식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 지장보살좌상은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비례와 띠로 묶어 주름잡은 섬세한 두건의 표현 등이 조형적으로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보주를 든 두건 지장의 정확한 도상을 구현했다는 점..
-
고창 선운사 만세루 (高敞 禪雲寺 萬歲樓)-보물 제206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0. 6. 29. 11:20
고창 선운사 만세루 (高敞 禪雲寺 萬歲樓)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각루 수량 1동 지정일 2020.06.01 소재지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사로 250 (아산면) 시대 조선시대 소유자 선운사 관리자 선운사 고창 선운사 만세루 정면 「고창 선운사 만세루」는 선운사에 전해지고 있는 「대양루열기」(1686년), 「만세루중수기」(1760년)에 따르면 1620년(광해군 12)에 대양루로 지어졌다가 화재로 소실된 것을 1752년(영조 28)에 다시 지은 건물로 정면 9칸 측면 2칸 규모의 익공계 단층건물이며 맞배지붕으로 현재까지 잘 남아 있다. 처음에는 중층 누각구조로 지었으나 재건하면서 현재와 같은 단층 건물로 바뀐 것으로 전해지며, 이는 누각을 불전의 연장 공간으로 꾸미려는 조선시대 후기 사찰공간..
-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高敞 禪雲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보물 제1752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4. 3. 11. 15:51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高敞 禪雲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보물 제1752호 보물 제1752호 보물 제1752호 종목 보물 제1752호 명칭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高敞 禪雲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소조/ 불상 수량 3 구 지정일 2012.02.22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 선운사 설명 고창 선운사 소조비로자나불좌상의 형태는 넓고 당당한 어깨,긴 허리, 넓고 낮은 무릎으로 인하여 장대하고 웅장한 형태미를 보여준다. 이러한 장대하고 웅장한 형태미를 갖춘 대형 소조상들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상,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상,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상 등 17세기 전반기 각지의 대표적인 사찰에서 조성된다. ..
-
선운사육층석탑 (禪雲寺六層石塔)-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4. 1. 18:45
선운사육층석탑 (禪雲寺六層石塔)-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선운사육층석탑 (禪雲寺六層石塔) 선운사육층석탑 (禪雲寺六層石塔) 종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9호 명칭 선운사육층석탑 (禪雲寺六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73.06.23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500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선운사 설명 선운사 대웅전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기단(基壇)을 1층으로 마련하여 전체의 무게를 버티게 하고 그 위로 6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놓았다. 기단의 네 면과 탑신부의 각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얇아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양끝에서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한 멋이 흐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Forest of Common Camellias at Seonunsa Temple, Gochang-천연기념물 제184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3. 4. 1. 18:07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84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184호 명칭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종교 수량/면적 45,092㎡(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67.02.11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산68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고창군 관리자( 관리단체) 고창군수 설명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 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春栢), 추백(秋栢), 동백(冬栢)으로 부른다. 고창 삼인리의 동백나무숲은 백제 위덕왕 24년(577) 선운사..
-
고창 선운사 대웅전 (高敞 禪雲寺 大雄殿)-보물 제29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4. 1. 17:53
고창 선운사 대웅전 (高敞 禪雲寺 大雄殿)-보물 제290호 고창 선운사 대웅전 (高敞 禪雲寺 大雄殿) 종목 보물 제290호 명칭 고창 선운사 대웅전 (高敞 禪雲寺 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삼인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선운사 설명 선운사는 도솔산 북쪽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진흥왕이 세웠다는 설과 백제 고승 검단선사가 세웠다는 두가지 설이 전한다. 그러나 가장 오래된 조선 후기의 사료에는 진흥왕이 세우고 검단선사가 고쳐 세운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선운사 대웅전은 신라 진흥왕 때 세워진 것으로 전하며, 현재 건물은 조선 성종 3년(1472)에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려 ..
-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兜率庵 金銅地藏菩薩坐像))-보물 제28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3. 31. 23:52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兜率庵 金銅地藏菩薩坐像)-보물 제280호 종목 보물 제280호 명칭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 (高敞 禪雲寺 兜率庵 金銅地藏菩薩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금속조/ 보살상 수량 1 구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전북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250, 선운사 (삼인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선운사 설명 고창 선운사 도솔암 금동지장보살좌상(高敞 禪雲寺 兜率庵 金銅地藏菩薩坐像)은 청동 불상 표면에 도금한 불상으로 선운사 도솔암에 모셔져 있다. 머리에는 두건(頭巾)을 쓰고 있는데, 고려 후기의 지장보살 그림에서 보이는 양식이다. 이 보살상은 선운사 금동보살좌상(보물 제279호)과 두건을 쓴 모습, 목걸이 장식, 차분한 가슴표현 등에서 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