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
고성 운흥사 영산전 (固城 雲興寺 靈山殿)-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14. 5. 10. 17:16
고성 운흥사 영산전 (固城 雲興寺 靈山殿)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종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명칭 고성 운흥사 영산전 (固城 雲興寺 靈山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85.11.14 소재지 경남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옥천사 설명 운흥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조사가 지은 절로 임진왜란 당시 승병의 본거지였다고 전한다. 절 경내에 있는 건물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영산전, 범종루, 산신각, 요사채 등이 있다. 영산전은 조선 영조 때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
고성운흥사감로도 (固城雲興寺甘露圖)-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4. 5. 10. 08:04
고성운흥사감로도 (固城雲興寺甘露圖)-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 명칭 고성운흥사감로도 (固城雲興寺甘露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기타 수량 1 폭 지정일 2000.08.31 소재지 경남 고성군 하이면 와룡2길 377 (와룡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운흥사 설명 효(孝) 사상과 결합하여 크게 성행한 감로탱화는 조상의 극락왕생을 위해 그린 불교그림으로, 부처를 극진히 대접하여 조상의 영혼이 지옥세계로부터 구제되기를 간절하게 기원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다. 이 그림은 크게 세부분으로 표현되었다. 그림의 맨 윗부분에는 불·보살의 모습이 표현되었고, 중간에는 부처님께 올리는 여러가지 음식을 차려 놓은 성..
-
고성 운흥사 대웅전 (固城 雲興寺 大雄殿)-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4. 5. 10. 07:36
고성운흥사대웅전 (固城 雲興寺 大雄殿)-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 명칭 고성 운흥사 대웅전 (固城 雲興寺 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74.02.16 소재지 경남 고성군 하이면 와룡2길 377 (와룡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운흥사 설명 와룡산 중턱에 있는 운흥사는 통일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그 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지만, 임진왜란(1592) 때 사명대사가 승병을 이끌고 이곳에서 왜적과 싸웠다고 하며, 대웅전은 이 때 불타없어졌다. 그 뒤 영조 7년(1731)에 다시 지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운흥사 대웅전은 앞면 5칸·..
-
고성옥천사일원 (固城玉泉寺一圓)-경상남도 기념물 제14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4. 5. 9. 18:27
고성옥천사일원 (固城玉泉寺一圓)-경상남도 기념물 제140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40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40호 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제140호 명칭 고성옥천사일원 (固城玉泉寺一圓)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 47,900㎡(25필지) 지정일 1994.07.04 소재지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일원(북평리 408외 24) 시대 소유.관리 옥천사 설명 연화산에 있는 옥천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조사가 지은 절이다. 화엄 10대 사찰로서 이곳에는 임자명반자(보물 제495호),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대웅전, 자방루, 향로, 반종들이 있으며, 청연암, 백연암, 연대암 등 3개의 암자와 청담스님의 사리탑이 빼어난 조형미를 갖추고 있어 연간 30만명의 관광객이 찾아들고 있다. 경..
-
고성 옥천사 명부전 (固城 玉泉寺 冥府殿)-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14. 5. 9. 17:30
고성 옥천사 명부전 (固城 玉泉寺 冥府殿)-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종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명칭 고성 옥천사 명부전 (固城 玉泉寺 冥府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85.11.14 소재지 경남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옥천사 설명 옥천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세운 절로 여러 차례 고치고 새로 지어 세울 당시의 건물은 없다. 절 이름이 옥천사인 것은 절 뒤에 맑은 샘이 솟아오른다고 하여 붙인 것이다. 명부전은 조선 중기 때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불계에서 영혼을 재판하는 곳으로 현대 사법기관과 마찬가지로 공정하게 영혼들을 ..
-
고성 옥천사 대웅전 (固城 玉泉寺 大雄殿)-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4. 5. 9. 17:13
고성 옥천사 대웅전 (固城 玉泉寺大雄殿)-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 명칭 고성 옥천사 대웅전 (固城 玉泉寺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74.12.28 소재지 경남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1로 471-9 시대 신라 소유.관리 옥천사 설명 옥천사는 연화산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이 지었으며,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인조 17년(1639)에 다시 지었다. 옥천사 대웅전은 절의 중심에 있는 법당으로 석가모니를 모시는 건물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효종 8년(1657)에 용성화상이 다시 지었으며, 그 후에 여러 차례의 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