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
-
강원 생태변화 생물권 보전지역문화재/내가 본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2020. 9. 13. 14:46
제31차 유네스코 국제조정이사회는 지난 6월 민통선 이북지역과 접경지역 일부가 포함된 DMZ일원을 강원생태평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를 공식 선포했다.유네스코 등재 강원생태평화 생물권보전지역 총면적은 18만2815ha로 지역별 면적은 철원군 4만2209㏊,화천군 4만2725㏊,양구군 3만4623㏊,인제군 3만3941㏊,고성군 2만9317㏊이다. 출처 : 강원도민일보(http://www.kado.net) 생물권 보전지역(Biosphere Reserve, 生物圈保護地域)은 유네스코의 MAB(인간과 생물권 계획)에 따라 지정된 보호구역이다.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생물이 보존되는 지역으로 인간 활동이 억제된다. 대한민국 설악산 (1982년 지정) - 강원도 제주도 (2002년 지정) - 제주도 신안 다도해 (..
-
고성운흥사원패 (固城雲興寺願牌)-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9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14. 5. 16. 14:51
고성운흥사원패 (固城雲興寺願牌)-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9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9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9호 종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9호 명칭 고성운흥사원패 (固城雲興寺願牌) 분류 유물 / 불교공예/ 장엄구/ 장엄구 수량 3점 지정일 2000.08.31 소재지 경남 고성군 하이면 와룡2길 248-28 (와룡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운흥사 설명 운흥사 원패는 왕실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기원패로서 왕의 패, 왕비의 패, 세자의 패 모두 3점이다.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왕의 패에는 황룡을 새기고 왕비의 패에는 봉황과 구름무늬를 새겼으며, 세자의 패에는 용과 새의 무늬를 새겨 놓았다. 섬세한 조각이나 정교한 문양을 새긴 기법과 장식적인 면에서 조선 후기 불교예술의 우수성을 엿볼..
-
고성 도산서원 (固城 道山書院)-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14. 5. 13. 08:44
고성 도산서원 (固城 道山書院)-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호 종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호 명칭 고성 도산서원 (固城 道山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5동 지정일 1983.07.20 소재지 경남 고성군 구만면 화림리 127번지 시대 소유.관리 전주 최씨 종중 설명 조선 인조 1년(1623)에 왜적을 물리친 최균과 최강 두 형제의 공을 높이 새기고, 이것을 추모하기 위한 서원이다. 지방 유지들이 세운 사액서원으로 고종 7년(1870)에 다시 세워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건물의 배치는 맨 뒤에 사당인 숭의사를 두고, 강당을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진수재와 홍학재가 있으며 대문인 양지문이 ㅁ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강..
-
고성 수림서원 (固城 繡林書院)-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14. 5. 12. 17:37
고성 수림서원 (固城 繡林書院)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호 종목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호 명칭 고성 수림서원 (固城 繡林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8동 지정일 1983.07.20 소재지 경남 고성군 마암면 화산리 시대 소유.관리 달성배씨문중 설명 나라에 공을 세운 무열공 배현경·배정지·배인경·배맹관·배상곤·배경을 추모하기 위해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조선 철종 7년(1856)에 세웠으며, 고종(재위 1863∼1907) 때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하였다가 복원되었다. 건물은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왼편에 방 2칸, 가운데에 대청 2칸, 오른편에 방 1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은 옆에서 보면 여덟 팔(..
-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固城 德明里 恐龍과 새발자국 化石産地)-천연기념물 제411호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14. 5. 11. 17:57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固城 德明里 恐龍과 새발자국 化石産地) 천연기념물 제411호 종목 천연기념물 제411호 명칭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固城 德明里 恐龍과 새발자국 化石産地)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고생물 수량/면적 1,411,837㎡(지정구역) 지정(등록)일 1999.09.14 소재지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5길 65 (덕명리)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 관리단체) 경남 고성 군수 설명 고성 덕명리 화석산지는 중생대 백악기 공룡발자국화석 산지로 양적으로나 다양성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곳이며, 중생대 새발자국 화석지로는 세계 최대이다. 이곳은 다양한 퇴적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1억 2천만년 전 생물의 생활흔적이 많이 나오고 있어, 공..
-
고성 송학동 고분군 (固城 松鶴洞 古墳群)-Ancient Tombs in Songhak-dong, Goseong-사적 제119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4. 5. 10. 19:29
고성 송학동 고분군 (固城 松鶴洞 古墳群)-사적 제119호 고성 송학동 고분군 (固城 松鶴洞 古墳群) 종목 사적 제119호 명칭 고성 송학동 고분군 (固城 松鶴洞 古墳群)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고분군 수량 64,298㎡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경남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 473-5번지 시대 가야 소유.관리 국유,공유,사유,전라북도 설명 고성읍 무기산을 중심으로 뻗어나간 구릉 주변에 있는 7기의 가야 무덤들이다. 가장 높은 곳에 1호 무덤이 있고 점차 밑으로 내려가면서 나머지 6기의 무덤들이 자리잡고 있다. 이 지역에서 북쪽으로 300m 거리에 기원리 무덤들이 있고, 동쪽으로 300∼400m 거리에 송학동 조개더미가 있어, 삼국시대 소가야국의 자리를 나타내주고 있다. 1호 무덤은 겉모..
-
고성향교 (固城鄕校)-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4. 5. 10. 18:32
고성향교 (固城鄕校)-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9호 명칭 고성향교 (固城鄕校)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량 10동 지정일 1983.08.12 소재지 경남 고성군 하이면 와룡2길 377 (와룡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재단법인 경남향교, 고성향교 설명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세워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영조 2년(1726)에 통영부에서 이곳으로 옮겨 여러 차례 보수했다. 건물의 배치는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앞에 있고, 여러 성현들을 모신 대성전과 동·서무가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형태이다. 또한 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