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들꽃-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
서울족도리풀-[정명] Asarum mandshuricum (Maxim.) M.Kim & S.So var. seoulense (Nakai) M.Kim & S.So식물/들꽃-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2013. 10. 23. 14:02
서울족도리풀 과명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속명 Asarum (족도리풀속) 전체학명 [정명] Asarum mandshuricum (Maxim.) M.Kim & S.So var. seoulense (Nakai) M.Kim & S.So 추천명 서울족도리풀 이명 민족도리풀,세신,조리풀,족도리풀,족두리풀,털족도리풀 ,한성세신 외국명 서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꽃의 통부에 흰 테두리가 있으며 꽃받침 열편이 약간 뒤로 젖혀져 있고잎자루에 꼬부라진 작은 털이 나 있다.
-
자주족도리풀식물/들꽃-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2013. 10. 21. 20:52
자주족도리풀 과명 Aristolochiaceae (쥐방울덩굴과) 속명 Asarum (족도리풀속) 전체학명 Asarum koreanum (J.Kim & C.Yook) B.U.Oh & J.K.Kim 추천명 자주족도리풀 이명 외국명 자주족도리풀 Asarum koreanum (J.Kim & C.Yook) B.U.Oh & J.K.Kim 충북 청원, 음성, 괴산일대 그리고 속리산 근교에 자라고 잎은 어릴 때에 뚜렷한 자주색을 띠고 꽃은 대형(大型)으로 열편(裂片)은 삼각형(三角形)에 접근되며 흔히 끝은 점첨두이고 흔히 꼬이며 꽃받침은 반구형으로 안쪽의 주름이 명확하며 열편에 반점이 있거나 또는 없다. 특히 다른 Asiasarum속에 비해서 화경 $7{sim}9cm$로 매우 길다. 구환(口環)은 흑자색을 띠며 종자는..
-
족도리풀-Asarum sieboldii Miq.식물/들꽃-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2013. 10. 21. 20:48
족도리풀 과명 Engler-APG Ⅳ-Aristolochiaceae(쥐방울덩굴과)속명Asarum (족도리풀속)전체학명 [정명] Asarum sieboldii Miq. 추천명족도리풀이명만주족도리풀 ,민세신 ,민족도리풀,민족두리풀,뿔족도리풀 ,세신,조리풀,족도리,족두리,족두리풀,털족도리풀 ,한성세신 ,화세신 외국명Siebold Wildginger ,ウスバサイシン,薄葉細幸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유독성식물이며 높이는 4-10cm이다.원줄기 끝에서 두 개의 잎이 나와 마주나기한 것처럼 퍼진다. 잎은 하트 모양이며 길이 5-10c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잎 표면은 윤기가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흔히 잔털이 있고 잎자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