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
음성공산정고가 (陰城 公山亭 古家)-중요민속문화재 제143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3. 7. 19. 21:02
음성공산정고가 (陰城 公山亭 古家)-중요민속문화재 제143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43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43호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143호 명칭 음성공산정고가 (陰城 公山亭 古家)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4.01.14 소재지 충북 음성군 감곡면 영산로55번길 19-4 (영산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김옥녀,이정희 설명 안채에 적힌 상량문에 1924년 집의 수리가 있었다는 내용이 있어 처음 지은 시기는 이보다 앞선 19세기 중반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ㄱ'자형의 안채가 남향으로 자리하고 대각선 맞은편에 사랑채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트인 'ㅁ'자형 배치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평면은 중부의 서해안 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데, 음성 지방에도 존재한다는 점에..
-
영동규당고택 (永同 圭堂 古宅)-중요민속문화재 제140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3. 7. 18. 21:58
영동규당고택 (永同 圭堂 古宅)-중요민속문화재 제140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40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40호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140호 명칭 영동규당고택 (永同 圭堂 古宅)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4.01.14 소재지 충북 영동군 영동읍 금동로4길 9-9 (계산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송영석,박부근 설명 19세기 후기에 건축된 집으로 상당히 넓은 터전을 차지한다. 집 뒤쪽 길가에 서서 바라보면 맞담을 쌓은 길이가 꽤 길게 이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ㄱ'자형 안채와 광채가 널찍이 둘러앉아 전체적으로는 튼 'ㅁ'자 모양을 이룬다. 그러나 이것은 안살림에 해당하는 부분일 뿐, 바깥살림에 해당하는 외부공간은 많이 변형되어서 그 전체적인 원형은 알 수 ..
-
괴산김기응가옥 (槐山金璣應家屋)-중요민속문화재 제136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3. 7. 14. 20:38
괴산김기응가옥 (槐山金璣應家屋)-중요민속문화재 제136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36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36호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136호 명칭 괴산김기응가옥 (槐山金璣應家屋)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4.01.14 소재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칠성로4길 20 (율원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김태석 설명 낮은 동산을 배경으로 양지바르고 터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는 집으로 '칠성고택'이라고도 부른다. 안채는 조선 후기(1800년대 초반)에 지은 것이고 사랑채, 중문채, 대문채 등은 나중에 지은 것들이라 한다. 대문채, 중문채, 사랑채, 행랑채, 안채, 광채, 헛간채로 구성되어 있는 규모가 매우 큰 집이다. 기다란 바깥행랑채 대문을 들어서면 바깥마당이고 그 왼편에..
-
해남윤탁가옥 (海南尹鐸家屋)-중요민속문화재 제153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3. 4. 22. 11:52
해남윤탁가옥 (海南尹鐸家屋)-중요민속문화재 제153호 해남윤탁가옥 (海南尹鐸家屋) 해남윤탁가옥 (海南尹鐸家屋)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153호 명칭 해남윤탁가옥 (海南尹鐸家屋)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4.01.14 소재지 전남 해남군 현산면 초호길 43 (초호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윤탁 설명 나지막한 야산을 뒤로하고 앞으로 들이 펼쳐진 남향 땅에 자리하고 있는 기와집이다. 안채에서 발견된 기록으로 보아 광무 10년(1906)에 지었음을 알 수 있고, 사랑채와 별당채도 이 시기에 지었다고 한다. 'ㄱ'자형의 문간채, 안채, 별당채와 '一'자형의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동네길과 이어진 낮은 터에 '一'자형 대문간채가 있고, 대문간을 들어서면 문간마당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