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
인천우체국 (仁川郵遞局)-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8. 11:57
인천우체국 (仁川郵遞局)-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 종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 명칭 인천우체국 (仁川郵遞局)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근대교통·통신시설/ 우정 수량 1 동 지정일 1982.03.02 소재지 인천 중구 항동6가 1 시대 일제강점기 소유.관리 국(지식경제부 외 1),서울체신청 설명 1924년 일제시대에 지은 건물로, 당시 유행하던 절충주의 양식을 단순화한 것이다. 입구 양쪽에 큰 기둥을 세우고 그 사이에 기둥머리 없는 작은 기둥을 여러개 받쳤다. 윗부분에는 둥근 돔 모양의 탑옥을 올려놓은 것이 일반적인데 이 건물에서는 생략하였다. 당시 관공서 건물은 대체로 탑옥을 올린 모양이었는데 이 건물은 기본 형식에서 약간 벗어나 있다. 한국전쟁으로 일부 파괴되어 지붕을 보수하였다.
-
논현포대 (論峴砲臺)-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7. 15:19
논현포대 (論峴砲臺)-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호 종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호 명칭 논현포대 (論峴砲臺)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전적지/ 기타전적지 수량 2 좌 지정일 1982.03.02 소재지 인천 남동구 논현동 415-56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재무부), 설명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가 인천으로 들어오는 서양인들의 배를 막기 위해 쌓은 포대이다. 조선 고종 16년(1879)에 쌓은 것으로 화도진의 관할 아래에 있었다. 인천연안은 강화의 바닷길을 통해 한양으로 가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많은 포대가 있었으나, 지금은 논현포대만 남아있다. 원래 대포자리가 몇 개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현재 2개의 대포자리가 남아 옛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인천도호부청사 (仁川都護府廳舍)-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7. 15:02
인천도호부청사 (仁川都護府廳舍)-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종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명칭 인천도호부청사 (仁川都護府廳舍)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 수량 2동(동헌, 객사) 지정일 1982.03.02 소재지 인천 남구 매소홀로 553(문학동 343-2) 문학초교내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인천광역시교육청 설명 조선시대의 기본적인 지방 행정기구는 도(道)이다. 경기도의 경우, 3개의 목(牧)과 8개의 도호부(都護府), 10개 군(郡)과 12현(縣)이 있었고, 8개의 도호부 가운데 인천도호부와 부평도호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인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것은 조선 세조 5년(1459)으로 세조의 비(妃)인 자성왕후 윤씨의 외향(外鄕)이기 때문이었다. 인천도호부청사의 건축 시기는 정확..
-
인천향교 (仁川鄕校)-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7. 10:32
인천향교 (仁川鄕校)-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 종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 명칭 인천향교 (仁川鄕校)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량 6동 지정일 1990.11.09 소재지 인천 남구 매소홀로 589(문학동 349-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인천향교재단 설명 향교는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며, 지방 백성들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국가에서 세운 교육기관으로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노비·책 등을 지급받아 학생들을 가르쳤다. 인천향교가 처음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 중반에 수리하였다고 전한다. 지금 남아있는 주요 건물은 조선 후기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1976년에 대성전·명륜당·삼문 등을 고쳤다. 현재 대성전·동무·서무·명륜당·동재·서재 등이 남아있..
-
장성백양사극락보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極樂寶殿 木造阿彌陀如來坐像)-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6. 21:51
장성백양사극락보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極樂寶殿 木造阿彌陀如來坐像)-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9호 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9호 명칭 장성백양사극락보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極樂寶殿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분류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수량 1 구 지정일 2008.04.11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6 시대 소유.관리 백양사 설명 조선시대 후기에 조성되어 백양사 극락보전에 모셔진 목조 아미타여래좌상이다. 높이 2m가 조금 넘는 비교적 큰 규모의 목조상으로 나발의 머리에 정상의 계주가 높이 돌출해 있고 전면 중앙 계주는 반달모양을 하고 있다. 얼굴은 사각형이며 이마에 백호가 있고 눈, 코, 입, 귀 등 이목구비가 뚜렷하다. 목에 삼도가 보이며 특히 목이 다른 예에 비해..
-
백양사극락보전 (白羊寺極樂寶殿)-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6. 20:59
백양사극락보전 (白羊寺極樂寶殿)-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 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 명칭 백양사극락보전 (白羊寺極樂寶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72.08.07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6 시대 소유.관리 백양사 설명 백암사는 백제 무왕 33년(632) 여환이 세웠다고 하는데, 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지금의 절은 1917년 송만암이 고쳐 세운 것이다. 극락보전은 조선 선조 7년(1574)에 한응선사가 지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조선사찰사료』를 보면 건물을 지을 때 조선 중종(재위 1506∼1544)의 비인 문정왕후가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앞면 3칸·옆면 4칸 규모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
-
백양사대웅전 (白羊寺大雄殿)-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6. 20:45
백양사대웅전 (白羊寺大雄殿)-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 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 명칭 백양사대웅전 (白羊寺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74.09.24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6 시대 소유.관리 백양사 설명 백양사는 백제 무왕 33년(632)에 여환이 처음 지은 후 여러 차례의 공사와 명칭의 변경이 있었던 사찰이다. 지금의 백양사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조선 선조 7년(1574) 환양이 다시 지은 이후부터이다. 환양이 백양사에 있으면서 매일 『법화경』을 읽을 때 흰 양이 경을 읽는 소리를 듣고 몰려오는 일이 많아지자 절 이름을 백양사라고 고쳤다고 한다. 대웅전은 1917년 절이 다시 지어질 때 같이 세운 것으로, 안에는 석가여래삼존불상..
-
백양사사천왕문 (白羊寺四天王門)-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26. 20:29
백양사사천왕문 (白羊寺四天王門)-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종목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명칭 백양사사천왕문 (白羊寺四天王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문 수량 1 동 지정일 1974.09.24 소재지 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26 시대 소유.관리 백양사 설명 백암산에 위치한 백양사는 백제 무왕 33년(632) 여환이 처음 지은 절이다. 이후 여러 차례 다시 지어지기도 하고 이름이 바뀌기도 하였는데, 지금의 백양사라는 이름은 조선 선조 7년(1574) 환양이 절을 다시 지은 이후부터이다. 환양이 절에 있으면서 매일 『법화경』을 읽을 때 흰 양이 경 읽는 소리를 듣고 몰려오는 일이 많아지자 절 이름을 백양사로 고쳤다 한다. 백양사의 정문인 사천왕문은 1917년 송만암에 의해 절이 크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