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淸州 明岩洞 出土 ‘丹山烏玉’銘 高麗 墨)-보물 제1880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8. 11. 28. 11:33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淸州 明岩洞 出土 ‘丹山烏玉’銘 高麗 墨)
-보물 제1880호
종목 보물 제1880호 명칭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淸州 明岩洞 出土 ‘丹山烏玉’銘 高麗 墨) 분류 유물 / 생활공예 수량 1점(殘片) 지정일 2015.10.23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국립청주박물관 (명암동,국립청주박물관)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국립청주박물관 설명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은 1998년 청주시 동부우회도로 건설공사 구간 내에 속한 명암동 1지구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목관묘에서 출토된 현존(現存)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 먹이다.
출토 당시 이 먹은 피장자 머리맡 부근 철제가위의 위에 두 토막이 난 상태로 “단산오(丹山烏)”라는 글자가 종서(縱書)되어 있는 면이 위쪽으로 놓여 있었다고 한다. ‘烏’자 밑에 ‘一’자 획이 보이는데, 이는 ‘玉’의 첫 획으로 먹을 갈아 사용하면서 닳고 남게 된 획으로 추정된다.
‘단산(丹山)’은 1018년(고려 현종 9)부터 1318년(고려 충숙왕 5)에 단양군(丹陽郡)으로 승격될 때까지 사용된 단양의 옛 명칭이며, ‘오옥(烏玉)’은 먹의 별칭인 ‘오옥결(烏玉玦)’의 약칭으로, ‘단산오옥(丹山烏玉)’은 ‘단양 먹(丹陽 墨)’이라는 뜻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세종실록(世宗實錄)」이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에서 “단양군(丹陽郡)은 본래 고구려의 적산현(赤山縣)인데 신라 때에 그대로 따라 내제군(柰堤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으며, 고려 때 단산현(丹山縣)으로 고치었다 … 토산(土産)은 산개(山芥)·송이(松茸)·신감초(辛甘草)·먹(墨)<가장 좋은 墨을 ‘丹山烏玉’이라 한다> 등이다”고 기록하고 있는 데에서도 잘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이미 먹을 사용하고 있었다. 도종의(陶宗儀)의 『철경록(輟耕錄)』에 의하면, 고구려가 송연묵을 당에 세공으로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또 원나라 육우(陸友)가 지은『묵사(墨史)』에는 “고려가 공납한 먹 중에 맹주(猛州)의 것이 상이고 순주(順州)의 것이 그 다음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상의 기록을 통해 볼 때 맹주, 순천, 단양이 우리나라 주요 먹 생산지였으며, 단산오옥의 명성은 조선시대까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은 이러한 고려 먹의 구체적인 양상을 보여 주고, 전통 먹의 연구에 귀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문화재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것이다.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33&ccbaKdcd=12&ccbaAsno=18800000&ccbaCtcd=33&ccbaCpno=1123318800000&ccbaLcto=
20&culPageNo=3&header=region&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assetname=00
앞면
뒷면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보물 제1408호 (0) 2018.11.28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光州 紫雲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보물 제1507호 (0) 2018.11.28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 (淸州 雲泉洞 出土 銅鐘)-보물 제1167호 (0) 2018.11.28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 (彌勒菩薩半跏思惟碑像)-보물 제368호 (0) 2018.11.27 군위 지보사 삼층석탑 (軍威 持寶寺 三層石塔)-보물 제682호 (0) 2018.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