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화 외성 (江華 外城)-사적 제452호문화재/내가 본 사적 2013. 2. 22. 10:07
강화 외성 (江華 外城)-사적 제452호
종목 사적 제452호 명칭 강화 외성 (江華 外城)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 265216㎡ 지정일
2003.10.25 소재지
인천 강화군 강화읍, 선원면, 불은면, 길상면 일원(강화도) 시대
고려시대 소유
국유,사유 관리
강화군 설명
강화외성은 고려 23대 고종이 1232년 몽고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한 뒤 고종 20년(1233) 해안 방어를 위해 적북돈대로부터 초지진까지 23km에 걸쳐 쌓은 성이다.
강화성은 내성·중성·외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성은 주위 약 1,200m로 지금의 강화읍성이다. 외성은 동쪽 해안을 따라 쌓았는데 몽고군이 바다를 건너 공격하지 못하게 한 가장 중요한 방어시설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고려 고종 24년(1237)에 강화외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비상시에 국왕의 피난처인 도성(都城)의 외성(外城)으로 광해군 10년(1618)에 보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숙종때 병자호란기(1636)에 허물어진 외성을 돌을 이용하여 다시 쌓았고 돈대(墩臺)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영조때 강화유수 김시혁(金始爀)이 비가 오면 성의 흙이 흘러내려 나라에 건의하여 영조 19년(1743)에서 이듬해에 걸쳐 벽돌을 이용하여 다시 쌓았다고 한다.
2001년 동양고고학연구소에서 실시한 오두돈 주변의 전축성 구간에 대한 지표조사 결과에 의하면, 뻘층을 기초로 머리돌을 올리고 그 위에 대형석재로 석벽의 중심을 삼고 그 위에 머리돌을 올리고 다시 전돌을 여러 단 쌓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성은 높이 20척, 폭 5척이며, 6개의 문루(조해루·복파루·진해루·참경루·공조루·안해루)와 암문 6개소, 수문 17개소를 설치하였다고 한다.
강화외성은 고려 후기∼17세기 후반 도성의 구조와 축성기법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이 성은 벽돌로 개축한 전축성(塼築城)이 오두돈 주변(남측)에 남아 있어 수원 화성(사적 제3호)과 더불어 전축성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준다.2003년 10월 25일 강화외성(사적 제452호)으로 흡수
그로인해 강화전성(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호)은 지정 해제되었다.
갑곶방향 흙으로
강화전성 부근 이다. 가까이 오두돈대가 있다.벽돌을 구어 성을 쌓았다.
화도돈대
오두돈대
손돌목돈대
용두돈대
초지진
'문화재 > 내가 본 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대도호부 관아 (江陵大都護府 官衙)-사적 제388호 (0) 2013.02.28 인천 답동성당 (仁川 沓洞聖堂)-사적 제287호 (0) 2013.02.28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大韓聖公會 江華聖堂)-Ganghwa Anglican Church-사적 제424호 (0) 2013.02.21 강화 곤릉 (江華 坤陵)-사적 제371호 (0) 2013.02.21 강화 가릉 (江華 嘉陵)-사적 제370호 (0) 201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