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계사대웅전 (華溪寺大雄殿)-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5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3. 12:23
화계사대웅전 (華溪寺大雄殿)-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5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5호 명칭
화계사대웅전 (華溪寺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85.12.05 소재지
서울 강북구 수유동 487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화계사 설명
화계사는 조선 중종 17년(1522)에 신월스님이 지은 절이다. 원래는 고려 광종(재위 949∼975) 때 법인대사가 삼각산 부허동에 보덕암을 짓고 이어져 내려오던 것인데, 신월이 지금의 자리로 옮겨 크게 짓고 화계사라 이름지었다. 그 후 광해군 10년(1618)의 큰 화재와 오랜 세월로 인해 건물이 퇴락하자, 고종 3년(1866) 흥선대원군의 시주로 다시 지었다. 1933년 조선어학회 주관으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위해 이희승·최현배 등의 국문학자 9명이 기거하며 집필한 곳이기도 하다.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양옆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모시고 있는 화계사 대웅전은 고종 7년(1870)에 새로 지었다.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놓은 다포양식 건물이다.
화계사 대웅전은 내부천장의 장식이나 기타 다른 건축부재의 장식들이 모두 조선 후기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 목조건축물이다.'문화재 > 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선사 석 독성상 (道詵寺 石 獨聖像)-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92호 (0) 2013.02.13 도선사 마애불입상 (道詵寺 磨崖佛立像)-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4호 (0) 2013.02.13 양효공안맹담과정의공주묘역 (良孝公 安孟聃과 貞懿公主 墓域)-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0호 (0) 2013.02.13 진관사 산신도 (津寬寺 山神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9호 (0) 2013.02.12 진관사 명호스님 초상 (津寬寺 명호僧 肖像)-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8호 (0)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