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求禮 泉隱寺 三藏菩薩圖)- 보물 제188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7. 1. 15. 17:58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求禮 泉隱寺 三藏菩薩圖) 보물 제1888호
종목
보물 제1888호
명칭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求禮 泉隱寺 三藏菩薩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보살도
수량
1폭
지정일
2016.02.22
소재지
전라남도 구례군 노고단로 209 (광의면, 천은사)
시대
조선시대
소유
천은사
관리자
천은사
일반설명
천은사 삼장보살도는 1776년에 천은사 대법당(극락전)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된 삼장보살도이다. 불화의 제작에는 수화승 신암화련(信庵華連)을 비롯하여 내숙(來淑), 덕잠(德箴), 민휘(敏徽), 태윤(泰閠), 육원(六圓), 환종(幻綜), 태화(泰華), 유운(有云), 성잠(性岑), 성활(性闊), 보잠(普岑), 행정(幸正), 성감(性鑑) 등 모두 14명의 화승이 참여하였다. 신암화련은 국보 제314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를 그린 18세기 중후반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크게 활약한 화승이다. 이 불화는 수륙재의 중단의례용 불화로 제작된 것인데, 세로폭에 비해 가로 폭이 매우 넓은 중대형 불화이다. 화면의 중앙에는 천장보살과 협시 진주·대진주보살을 비롯한 권속을, 왼쪽에는 지지보살과 협시 용수·다라니보살을 비롯한 권속을, 그리고 오른쪽에는 지장보살과 협시 도명존자·무독귀왕을 비롯한 권속을 나란히 배치하였다. 각 주존 보살은 높은 수미단 위에 결가부좌하고 그 주위에 각각의 권속들이 주존을 둘러싸고 시립한 모습인데, 화면에 비하여 많은 권속들을 표현하였지만 비교적 여유 있는 화면구성을 보여준다. 조선 중기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삼장보살도는 16세기 이후 많은 수의 작품들이 남아 있는데, 천은사 삼장보살도는 각 보살의 아래 화기란에 화면에 도설된 권속들의 이름을 낱낱이 기록해 놓은 유일한 자료로서 삼장보살도의 도상 연구에 기준이 되고 있다. 화기의 명칭에 의해볼 때 권속들의 명칭은 수륙재 의궤집인 『천지명왕수륙재의범음산보집』(1739년) 등에 근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삼장보살도 도상연구에 기준이 되고 삼장보살도와 수륙재 의궤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 보호할 가치가 있다.
2010.03.27방문
다시방문해야 제대로된 자료를 찾을 듯 하고나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비도량참법집해 (慈悲道場懺法集解)-Commentaries on Jabi doryang chambeop (Repentance Ritual of the Great Compassion)- 보물 제1653호 (0) 2017.01.19 남명천화상송증도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보물 제758-1호 (0) 2017.01.19 제주향교 대성전 (濟州鄕校 大成殿)-보물 제1902호 (0) 2017.01.15 완산부지도 (完山府地圖)-보물 제1876호 (0) 2017.01.13 황기로 초서-이군옥시 (黃耆老 草書-李羣玉詩)-보물 제1625-1호 (0) 2017.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