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 지석묘 이야기-잘 다듬자나의 문화재 이야기 2016. 6. 29. 09:37
홍성 지석묘 이야기-잘 다듬자
충청남도 기념물 제28호
종목
충청남도기념물 제28호
명칭
홍성지석묘 (洪城支石墓)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
4기(60㎡)
지정일
1982.08.03
소재지
충남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17-1번지 3필 시대
청동시대
소유.관리
홍성군
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
홍성군 구항면·은하면에 분포하고 있는 이 고인돌은 탁자식으로 모두 4기이다. 구항면 태봉리에 있는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 중 1개가 빠져 나간 상태이고, 나머지 3개는 약간 무너졌으나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그 위에 올려 놓은 덮개돌은 길이 3.8m, 너비 3m이다. 이 고인돌로부터 약 7∼8m의 거리 남쪽에 또 하나의 넓고 큰 바위가 있었는데 10여년 전에 깨뜨려 없앴으며, 당시 돌도끼 1개가 출토되었다고 한다. 그 외 구항면 금국리 1기, 은하면 학산리에 2기의 고인돌이 있다.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3,00280000,34&queryText=
이 일대에 분포되어 있는 지석묘는 탁자식(북방식)계통에 속하는 유적들이다. 이 지석묘는 구항면 태봉리 ‘되천이 마을’ 뒤로 넘어 가는 속칭 ‘밤실고개’의 고갯마루의 우측에 있으며, 상석(上石)의 크기가 3.8×3×1.2m에 달하고 있다.
이 지석묘의 하단유구(下端遺構)는 이미 지상에 노출되어 있는데 현재 1매의 괴임돌이 유실되어 파괴된 상태이다. 그 외 3매의 괴임돌은 약간 무너졌으나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받쳐져 있다.
동-서를 장축으로 하는 장방형(長方形)으로 남아 있는 고임 판석(板石)들의 수치는 장벽(長壁)이 길이 210㎝, 높이 70㎝이고, 단벽(短壁)은 그 폭이 1m 내외이다. 1982년 8월 3일 충청남도 지방지정문화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석묘가 있는 밭의 소유주 전상규(田商圭)씨의 말에 의하면 이 지석묘로부터 남쪽으로 약 7∼8m의 거리에 또 하나의 넓고 큰 판상형(板狀形)의 바위가 있었는데 10여 년전에 다 깨트려 없앨 때 돌도끼[石斧] 1점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64183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지석묘 충청남도기념물 제28호를 찾았다.
1. 찾기 어렵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충남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17-1번지 3필
홍성군청 홈페이지:주소 충남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389
(http://tour.hongseong.go.kr/prog/cultureAssets/tour/sub04_03_02/C2/view.do?pageIndex=1&asset_seq=35)
문화재청 홈페이지 주소 충남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17-1과 충남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산17-1은 네이버지도에서 검색되지 않는다.
다음지도에서도 17-1검색되지 않는다.대신 산 18-1만 검색된다.
또 다른 주소 홍성군청 홈페이지 주소 충남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389를 검색했더니
이곳으로 검색되었다. 이번에 내가 찾은 지석묘다.
문화재청이 제시한 사진과도 다르다.
이번에 찾은 지석묘
문화재청 사진
정말찾기 어렵다. 주소가 정확하지 못하다.
안내 표지라도 더 있어야.
2.문화재청 홈페이지 내용이 부족하다.
지정된 지석묘가 4기라고 했지만 4기의 사진도 없고 4기의 각 주소도 없다. 내용이 부족해도 많이 부족하다.
홈페이지 사진이 대표라면 설명도 다르고 주소도 다르다. 설명된 내용의 맞는 지석묘는
그러니 내용도 부족하고 정보도 정확하지 않다.
2016.06.12
내가 찾은 지석묘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3,00280000,34&queryText=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767433
http://www.koreasanha.net/board/mountain/961717
'나의 문화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호수 참나무는 옳은가? (0) 2016.11.14 담양 문화재 안내판-통일이 되었으면 한다. (0) 2016.11.13 홍성군 문화재 소개 옥의 티 (0) 2016.06.28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粉靑沙器 象嵌蓮花唐草文 甁)-보물 제1067호는 없다. (0) 2016.01.20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군락 있다기에 찾아보았다. (0) 2016.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