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경궁 자격루 누기 (昌慶宮 自擊漏 漏器)-국보 제22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2. 5. 11:02
창경궁 자격루 누기 (昌慶宮 自擊漏 漏器)
-국보 제229호
종목
국보 제229호 명칭
창경궁 자격루 누기 (昌慶宮 自擊漏 漏器)
분류
유물 / 과학기술/ 천문지리기구/ 천문 수량
1 기 지정일
1985.08.09 소재지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덕수궁 설명
물시계는 물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삼국시대부터 나라의 표준 시계로 사용하였다. 조선 세종 16년(1434) 장영실에 의해 정해진 시간에 종과 징·북이 저절로 울리도록 한 물시계가 처음 제작되었으나, 오래 사용되지는 못하였고, 중종 31년(1536)에 다시 제작한 자격루의 일부가 현재 남아 있다.
물시계의 원리를 보면, 맨 위에 있는 큰 물그릇에 넉넉히 물을 부어주면 그 물이 아래의 작은 그릇을 거쳐, 제일 아래쪽 길고 높은 물받이 통에 흘러든다. 물받이 통에 물이 고이면 그 위에 떠 있는 잣대가 점점 올라가 미리 정해진 눈금에 닿으며, 그곳에 장치해 놓은 지렛대 장치를 건드려 그 끝의 쇠 구슬을 구멍 속에 굴려 넣어준다. 이 쇠구슬은 다른 쇠구슬을 굴려주고 그것들이 차례로 미리 꾸며놓은 여러 공이를 건드려 종과 징·북을 울리기도 하고, 또는 나무로 만든 인형이 나타나 시각을 알려주는 팻말을 들어 보이기도 한다. 지금 남아 있는 물시계는 쇠구슬이 굴러 조화를 이루던 부분이 없어진 채, 물통 부분들만 남아 있다.
청동으로 된 큰 물그릇은 지름 93.5㎝, 높이 70.0㎝이며, 작은 물그릇은 지름 46.0㎝, 높이 40.5㎝이다. 작은 물그릇이 놓였던 돌 받침대는 지금 창경궁 명정전 뒤에 2개가 남아 있다.
현재 중국 광동에 남아 있는 명나라의 물시계보다 조금 늦게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규모가 크고 만듦새가 훌륭하여 매우 귀중한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천 갈항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金泉 葛項寺址 東ㆍ西 三層石塔)-국보 제99호 (0) 2013.02.07 서울 숭례문 (서울 崇禮門)-국보 제1호 (0) 2013.02.06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圓覺寺址 十層石塔)-Ten-story Stone Pagoda at Wongaksa Temple Site, Seoul-국보 제2호 (0) 2013.01.27 world Cultural Heritage-종묘 정전 (宗廟 正殿)-Main Hall of Jongmyo Shrine-국보 제227호 (0) 2013.01.26 창경궁 명정전 (昌慶宮 明政殿)-국보 제226호 (0) 2013.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