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주읍내리석조여래입상-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9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15. 2. 4. 09:03
파주읍내리석조여래입상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9호
종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9호
명칭
파주읍내리석조여래입상
분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
1 구
지정일
2006.07.03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구암로 900,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읍내리 산 142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설명
현재 준비중입니다.
몇년 전 파주시 주내(파주읍)에 가서 파주 읍내리 석조여래입상의 위치를 물었다.아는 사람도 없는 듯. 머리를 극적이며 나왔는데 파주시에 읍내리라는 행정명이 있는가? 없는 것 같아서. 문화재 명칭이 파주 읍내리라 했으니 주내를 찾을 수밖에. 나중에 안 일이지만 파주시의 형편을 몰랐던 점이 . 파주시에는 민간인 통제 구역이 많다는 것을 깜박. 또 그 지역에는 문화재가 없으리라 지레짐작해서.
파주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였다.
군내면 읍내리 산 142번지라고.
가서 본다는 것은 어렵겠구나.
http://blog.daum.net/dbsqkqh/4738에서 어렵게 본 것으로 보아 탐방은 쉽지 않을 듯.
그래서 파주시청 자료를
이 석조여래입상은 민통선(民統線)지역인 파주시 군내면 읍내리 산 142번지 백학산(白鶴山)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석불은 현재 불신(佛身)과 불두(佛頭)가 절단된 상태로 불두는 배례석(拜禮石) 위에 놓여 있는데 다소 마모가 되기는 하였지만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불두 머리 위에는 육계(肉?)가 높게 원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육계 주변의 조각 상태와 별다른 결구 흔적이 없는 것으로보아 보개석(寶蓋石)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얼굴은 다소 평면적인데 눈은 선각(線刻)으로 간략하게 표현하였고 코는 높다. 귀는 돋을대를 활용하여 상하로길쭉하게 하였고,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었다. 불두는 전체적으로 정연한인상을 주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간략화나 형식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불두 전체 높이는 134cm, 육계 높이 24cm, 머리폭은 63cm의 규모이다. 불신(佛身)은 원래의 자리에 세워져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하부가 매몰되어 정확한 실상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불신에 옷주름을두껍게 표현하여 신체의 윤곽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있다. 법의(法衣)는 목 아래로 깊게 파인 통견의(通絹衣)로 목 아래 법의 사이에V자형으로 파인 가슴에는 사각형의 장식물이 달린 목걸이를 걸고있다. 옷주름은 일정한 간격으로 단을 이루며 하반신까지 내려가면서 전신을 덮고 있다. 두 팔은 옷주름 안으로 윤곽을 드러내고 있으며 불신 외곽으로 길게 내려 복부 위에서 두 손을 모아 합장하고 있는 형상이지만 법의 안쪽으로 표현되어 정확한 수인(手印)은 알 수없다. 불신의 규모는 전체 높이가 334cm에 달한다. 이 석불은 조성 위치나 신앙적 배경, 불두와 불신의 전체적인 조각 기법이 간략화와 형식화의 경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으며, 불신의 불균형적이며비사실적인 표현 기법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석불이 고려시대 수도였던 개성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지만 그 형식과 양식이 지방에서 조성된 석불들과 강한 친연성을 보이고 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gcfgmd&logNo=220136161577
이 문화재를 발견할 당시에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gcfgmd&logNo=220136161577
'문화재 > 내가 본 문화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영사 부도 (佛影寺 浮屠)-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0) 2015.02.26 고령 향교 (高靈鄕校)-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29호 (0) 2015.02.25 양주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5호 (0) 2015.01.31 보성봉강리정씨고택-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61호 (0) 2015.01.25 보성죽천선생문집및유묵목판 (寶城竹川先生文集및遺墨木板)-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06호 (0) 201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