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정용채가옥 (華城鄭用采家屋)-중요민속문화재 제124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3. 9. 19. 00:38
화성정용채가옥 (華城鄭用采家屋)
-중요민속문화재 제124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24호 중요민속문화재 제124호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124호 명칭
화성정용채가옥 (華城鄭用采家屋)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
일곽 지정일
1984.01.14 소재지
경기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109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정융구 설명
나즈막한 동산이 둘러있는 명당 터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잡고 있는 큰집이다. 솟을대문에 적힌 기록에는 "고종 24년(1887)에 문을 세웠다"고 적혀 있으나, 안채와 사랑채는 이 문보다 약 50년 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대문은 정면으로 내지않고 북쪽측면으로 내어 언뜻보면 집이 커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50칸이 넘는 큰 규모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사랑마당이며, 마당의 왼쪽으로 길게 줄행랑채가 뻗어있고 오른쪽으로 사랑채가 자리한다. 사랑채 맞은편의 마당끝에는 안채로 통하는 중대문이 있다. 중대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ㄷ자형의 안채는 앞이 개방된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안방·찻방(과방)이 있고, 오른쪽에 부엌·건넌방·마루를 배치하였다. 특이한 것은 사랑채의 안사랑방 뒤에 있는 골방이 뒷마루를 통하여 은밀하게 안채의 대청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대부 집에서 통상 쓰는 수법이다.
길다란 행랑채는 안채와 사랑채의 앞을 가로막아 안마당과 사랑마당을 형성하고 있다. 대문채는 여기에 연결이 되어 있다. 안사람들의 아늑한 생활공간이었던 뒷뜰은 우물과 장독대를 두어 안살림의 옥외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주위에 심은 감나무와 소나무는 뒷산으로 이어져 자연에 파묻힌 아름다운 공간구성을 만들고 있다.
전체적으로 평면형태가 '月'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형적인 양반가옥의 모습을 보이는 주택이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화성정용채가옥 (華城鄭用采家屋) 화성정용채가옥 (華城鄭用采家屋) '문화재 > 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읍민속마을 (城邑民俗마을)-중요민속문화재 제188호 (0) 2013.09.22 화성정용래가옥 (華城鄭用來家屋)-중요민속문화재 제125호 (0) 2013.09.19 울릉나리동너와집및투막집 (鬱陵羅里洞 너와집 및 투막집)-Wooden Shingles and Thatched Roof Tumakjip Houses in Na-ri, Ulleung 국가민속문화재 제256호 (0) 2013.09.08 논산명재고택 (論山 明齋 古宅)-Myeongjae Historic House, Nonsan-국가민속문화재 제190호 (0) 2013.08.18 논산 백일헌 종택 (論山 白日軒 宗宅)-국가민속문화재 제273호 (0) 2013.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