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忠州 彌勒里 五層石塔)-보물 제95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3. 7. 22. 19:48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忠州 彌勒里 五層石塔)
-보물 제95호
보물 제95호 보물 제95호 종목
보물 제95호 명칭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忠州 彌勒里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 기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6 시대
고려시대 소유.관리
국유,충주시 설명
이 곳에는 고려시대의 석불과 석굴이 만들어졌던 흔적이 남아 있고, 그 앞쪽에 석등과 더불어 이 석탑이 남아 있다.
기단 하부는 자연석에 가까운 네모난 돌로 특별하게 장식을 하지 않았으며, 그 위로 기단의 맨윗돌이 올려져있다. 탑신(塔身)은 1층 지붕돌이 2장일 뿐 몸돌이나 다른 지붕돌은 모두 1장의 돌로 되어 있다. 각 층의 몸돌에는 몸돌의 넓이에 비하여 좁은 기둥을 모서리에 새겼다. 지붕돌은 급격하게 좁아져 석탑 전체의 균형과 미관을 손상시키고 있다. 지붕 밑면의 받침은 5단이지만 추녀가 짧아서 6단인 것처럼 보인다. 처마는 수평이고 지붕돌의 경사는 매우 급한데 귀퉁이의 치켜올림은 거의 없는 편이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남아 있는데, 노반은 6층 지붕돌로 보일 만큼 큼직하고, 복발은 반원 모양이다. 정상에는 머리장식의 중심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긴 쇠꼬챙이모양의 찰간(擦竿)이 남아있다.
5단의 지붕돌 밑면받침과 직선의 처마는 신라시대 석탑의 양식을 따른 것인데, 지붕돌의 급경사와 형식적인 기둥새김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보인다.보물 제95호 보물 제95호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보물 제97호 (0) 2013.07.24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忠州 彌勒里 石造如來立像)-보물 제96호 (0) 2013.07.22 충주백운암철조여래좌상 (忠州白雲庵鐵造如來坐像)-보물 제1527호 (0) 2013.07.22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忠州 億政寺址 大智國師塔碑)-보물 제16호 (0) 2013.07.22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忠州 丹湖寺 鐵造如來坐像)-Iron Seated Buddha of Danhosa Temple, Chungju-보물 제512호 (0) 2013.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