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장사대웅전 (七長寺大雄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4. 30. 10:11
칠장사대웅전 (七長寺大雄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칠장사대웅전 (七長寺大雄殿) 칠장사대웅전 (七長寺大雄殿) 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명칭
칠장사대웅전 (七長寺大雄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 동 지정일
1983.09.19 소재지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칠장사 설명
칠장사는 칠장사 칠현산에 자리잡고 있는 절로 신라 선덕여왕 5년(636)에 자장율사가 세웠으며, 고려 현종 5년(1014)에 혜소국사가 다시 지었다. 조선 숙종 20년(1694)에 절이 불에 타 숙종 30년에 석규대사가 대웅전을 옮겼다. 영조 12년(1736)에 설영대사가 고쳤으며,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수리하였다.
칠장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조선 후기에 세워져 여러 차례 수리한 것으로 보인다.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양식으로 각 칸마다 2개의 공포를 설치했다. 내부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불화와 연꽃무늬로 채색되어 있고, 중앙에는 불단이 있어 그 위에 석가삼존불이 모셔져 있다.
이러한 형식은 조선 후기 소규모 절의 대웅전 건물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칠장사대웅전 (七長寺大雄殿) 칠장사대웅전 (七長寺大雄殿) 2019.08.29 보물 제2036호로 승격 지정
'문화재 > 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옹선사부도및석등 (儺翁禪師浮屠및石燈)-경기도 유형문화재 제50호 (0) 2013.04.30 안성칠장사대웅전목조석가삼존불좌상 (安城七長寺大雄殿木造釋迦三尊佛坐像)-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13호 (0) 2013.04.30 칠장사당간 (七長寺幢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호 (0) 2013.04.30 칠장사소조사천왕상 (七長寺塑造四天王像)-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0) 2013.04.29 안성죽림리삼층석탑 (安城竹林里三層石塔)-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9호 (0) 2013.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