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기념물 2013. 4. 17. 10:57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종목
전라남도 기념물 제28호 명칭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서원 수량
일원
지정일
1977.10.20 소재지
전남 영광군 불갑면 강항로 101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사유,강은 설명
조선 중기 문신인 강항(1567∼1618)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강항은 공조좌랑과 형조좌랑에 있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왜적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되었다. 일본에 있으면서 그 나라의 역사, 지리 등을 알아내어 고국으로 보내기도 하면서 일본에는 성리학을 전하였다. 선조 33년(1600) 귀국한 후 벼슬을 사양하고 독서와 후진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이 서원은 인조 13년(1635)에 나라에서 ‘용계사’라는 이름을 내려주었고 숙종 28년(1702)에 고쳐 세웠다. 일제시대 때에도 고쳐 지었는데 그 뒤로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앞쪽에 교육 공간을 마련하였고 뒤쪽에 제사 공간을 마련한 전학후묘의 배치이다. 교육 공간인 강당은 중앙에 마루를 두고 양 옆으로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뒤에 있는 내삼문을 지나면 강항의 위패를 모신 작은 규모의 사당이 있다. 왼쪽 산기슭에는 강항의 묘소가 있다.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영광내산서원 (靈光內山書院) 강항(姜沆)에 대하여
강항(姜沆)
1567(명종 22)∼1618(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 자는 태초(太初), 호는 수은(睡隱)·사숙재(私淑齋). 영광출신.
좌찬성 희맹(希孟)의 5대손으로, 아버지는 극검(克儉)이고,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1593년 전주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교서관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가주서를 거쳐 1595년 교서관박사가 되고, 이듬해 공조좌랑에 이어 형조좌랑이 되었다.
1597년 휴가로 고향에 내려와 있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분호조참판 이광정(李光庭)의 종사관으로 군량미 수송의 임무를 맡았다. 아군의 전세가 불리해져 남원이 함락당하자 고향으로 내려와 순찰사 종사관 김상준(金尙寯)과 함께 격문을 돌려 의병 수백인을 모았으나 영광이 함락되자 가족들을 거느리고 해로로 탈출하려다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압송, 오쓰성(大津城)에 유폐되었다.
이곳에서 출석사(出石寺)의 중 요시히도(好仁)와 친교를 맺고 그로부터 일본의 역사·지리·관제 등을 알아내어 《적중견문록 賊中見聞錄》에 수록, 본국으로 보내기도 하였다.
1598년 오사카(大阪)를 거쳐 교토(京都)의 후시미성(伏見城)으로 이송되었다. 이곳에서 후지와라(藤原醒窩)·아카마쓰(赤松廣通) 등과 교유하며 그들에게 학문적 영향을 주었다.
특히, 후지와라는 두뇌가 총명하고 고문(古文)을 다룰 줄 알아 우리나라의 과거절차 및 춘추석전(春秋釋奠)·경연조저(經筵朝著)·공자묘(孔子廟) 등을 묻기도 하고, 또 상례·제례·복제 등을 배워 그대로 실행, 뒤에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되었다. 일본에 억류중 두 사람에게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또한 그들의 노력으로 1600년에 포로생활에서 풀려나 가족들과 함께 귀국하였다.
1602년 대구교수(大丘敎授)에 임명되었으나 스스로 죄인이라 하여 곧 사직하였으며, 1608년 순천교수(順天敎授)에 임명되었으나 역시 부임하지 않고 향리에서 독서와 후학 양성에만 전념, 윤순거(尹舜擧)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다.
일본에 억류중 사서오경의 화훈본(和訓本)간행에 참여하여 몸소 그 발문을 썼고, 《곡례전경 曲禮全經》·《소학》·《근사록 近思錄》·《근사속록》·《근사별록》·《통서 通書》·《정몽 正蒙》 등 16종을 수록한 《강항휘초 姜沆彙抄》를 남겨 일본의 내각문고(內閣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그밖에 〈문장달덕록 文章達德錄〉과 동양문고 소장본 《역대명의전략 歷代名醫傳略》의 서문을 썼다.
1882년(고종 19)에 이조판서양관대제학(吏曹判書兩館大提學)이 추증되었다. 영광의 용계사(龍溪祠)·내산서원(內山書院)에 제향되고, 일본의 효고현(兵庫縣)에 있는 류노(龍野)성주 아카마쓰(赤松廣通)기념비에 이름이 새겨져 있다.
저서로는 《운제록 雲堤錄》·《강감회요 綱鑑會要》·《좌씨정화 左氏精華》·《간양록 看羊錄》·《문선찬주 文選纂註》·《수은집》 등이 있다.'문화재 > 내가 본 시도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도교장흥교당 (天道敎長興敎堂)-전라남도 기념물 제218호 (0) 2013.04.20 구고사및김완장군부조묘 (九皐祠및金完將軍不조廟)-전라남도 기념물 제49호 (0) 2013.04.17 1100여년의 선암사삼인당 (仙岩寺三印塘)-전라남도 기념물 제46호 (0) 2013.04.14 구동양척식주식회사목포지점 (舊東洋拓殖株式會社木浦支店)-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 (0) 2013.04.13 목포시사 (木浦詩社)-전라남도 기념물 제21호 (0) 2013.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