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홍괴불나무-[정명] Lonicera maximowiczii (Rupr.) Regel
    식물/들꽃-인동과(Caprifoliaceae) 2024. 4. 23. 10:20
    과명 Caprifoliaceae (인동과) 속명 Lonicera (인동속)
    전체학명 [정명] Lonicera maximowiczii (Rupr.) Regel  추천명 홍괴불나무
    비추천명 숲아귀꽃나무,가는잎붉은아귀꽃나무,가는잎숲아귀꽃나무,가는잎홍괴불나무,붉은아귀꽃나무 영문명 Reddish honeysuckle

    형태

    낙엽성 관목으로 직립하며, 높이 0.4∼2 m이다. 줄기는 지면에서부터 1∼14개가 나오고, 수피는 세로 방향으로 홈이 나 있으며, 쉽게 벗겨지고, 흑갈색을 띤다. 가지의 속은 흰색으로 차 있다. 1년생 가지는 연녹색 또는 자주색을 띠고, 털이 산생하나 점차 없어진다. 겨울눈은 피침형이며, 길이 6.3∼12.8 mm이고, 인편은 3∼6쌍으로 피침형이며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며, 단엽이다. 엽병은 길이 3.8∼8.5 mm이고, 털이 산생하나 점차 없어진다. 엽신은 난형, 넓은 난형에서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크기 3.8∼11.6 × 1.7∼6.4 cm이다. 엽선은 예두 또는 예첨두이고, 엽연은 전연으로 선모가 있으며, 엽저는 설저 또는 원저이다. 잎의 표면은 광택이 없는 녹색이며, 선모와 털이 산생하고, 이면은 광택이 없는 연녹색이며, 연모가 밀생한다. 화서는 액생하며 새 가지의 엽액에서 1개의 화경이 나오고 2개의 꽃이 달린다. 화경은 길이 0.6∼6.4 cm이고, 털이 없다. 포는 2개이고, 삼각형이며, 크기 0.4∼2.6 × 0.3∼0.5mm이다. 소포는 2개이고, 둥근 접시 모양으로 합쳐지며 크기 0.4∼1.3 × 0.8∼1.3 mm이다. 꽃의 개화기는 5∼6월이다. 꽃은 양성화이고, 완전화이며, 순형이다. 화색은 적자색을 띤다. 꽃받침은 기부가 합쳐져 있고, 열편은 5개이며, 피침형 또는 삼각형이다. 화관은 길이 5.4∼11.2 mm이고, 통부는 길이 2.1∼4.2 mm, 직경 1.2∼3.1 mm이며, 안쪽 하부에 털이 밀생한다. 상순은 도란형이며 크기 4.1∼7.5 × 4.2∼8.5 mm이고, 4개의 열편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크기 1.5∼3.4 × 1.8∼3 mm이고, 안쪽에 선모와 털이 있다. 하순은 주걱형이며, 크기 3.5∼8.1 × 1.8∼2.4 mm이고, 갈라지지 않으며 안쪽에 선모와 털이 있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는 하부에만 털이 있다. 약은 T-착이고, 좁은 장타원형이며, 자주색을 띤다. 자방은 타원형이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길이 4.5∼8.5 mm이며, 암술대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주두는 두상이다. 열매는 7∼8월에 성숙한다. 장과이며, 2개의 열매가 완전히 합쳐진다. 원형 또는 광타원형이며, 크기 5.9∼8.3 × 5.3∼7.5 mm이고, 광택이 있으며, 적색으로 익고, 털이 없다. 종자는 1 또는 2개이고, 난형, 또는 광타원형이며 크기 3.6∼5.3 × 2.7∼3.7 mm이다. 납작하고, 표면은 평활하며, 갈색을 띤다.

    분포

    러시아(동쪽의 시베리아), 중국(동북부), 일본(사할린, 쿠릴열도 남부, 홋카이도), 한국(경기, 강원, 충북, 전북, 전남, 경북)

    비고

    국내에서 홍괴불나무의 정명은 L. maximowiczii (Chang, 2014) 또는 L. sachalinensis (Chun, 1994; Lee, 2003; Lee; 2006)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Yang et al. (2011)은 L. sachalinensis를 L. maximowiczii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Chang (2011)은 여러 분류학적 처리가 종이 갖는 형태적 변이인 잎 이면 털의 유무, 잎의 크기, 선모가 있거나 없는 특징 등에 있어 매우 심한 개체를 중심으로 세분화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포의 길이와 형태 등이 개체 또는 집단 간 변이 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hang (2011), Kim and Kim (2011), Kim (2014)와 같이 발표 시기가 가장 앞선 L. maximowiczii (Rupr.) Regel에 모두 이명 처리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한반도 수목지 4(2020), Chang, C. S., Kim, H. and Chang, K. S.,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aju. Pp. 510., Chang, C. S., H. Kim and K. S. Chang. 2014. Provisional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KPF). Design post, Paju. 660 pp., Chun, S. H., 1994.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Lonicera in Korea: specially referred to morphology, pollen characteristics and DNA polymorphism pattern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5 pp., Kim, J. S. and T. 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Pp. 688 pp.,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ayangmunsa, Seoul. 910 pp.,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 Kyohaksa, Seoul. 885 pp., Yang, Q., S. Landrein, J. Osborne and R. Borosova. 2011. Caprifoliaceae. In Wu, Z. Y., P. H. Raven and D. Y. Hong (eds.). Flora of China. Vol. 19.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aint Louis. Pp. 620-641.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식물자원 > 식물도감 > 이름으로찾기 (nature.go.kr)

     

     

     

     

     

    https://youtu.be/kefvgjRGxuM?t=59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