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끼가 끼지 않는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慶州 羅原里 五層石塔)-Five-story Stone Pagoda in Nawon-ri, Gyeongju-국보 제39호문화재/내가 본 국보 2013. 3. 9. 11:30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慶州 羅原里 五層石塔)-국보 제39호
나원백탑이라고도 불린다.
종목 국보 제39호 명칭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慶州 羅原里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 1기 지정일 1962.12.20 소재지 경북 경주시 현곡면 라원리 676 시대 통일신라 소유.관리 분황사 설명
나원리마을의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으로, 경주에 있는 석탑 가운데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국보 제112호)과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8호)과 비교되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천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순백의 빛깔을 간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나원 백탑(白塔)’이라 부르기도 한다.
2층 기단(基壇)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으로, 기단과 1층 탑신의 몸돌, 1·2층의 지붕돌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은 각 면마다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는데, 가운데부분의 조각을 아래층은 3개씩, 위층은 2개씩 두었다. 탑신부는 각 층 몸돌의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경사면의 네 모서리가 예리하고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있어 경쾌함을 실었고,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꼭대기에는 부서진 노반(露盤:머리장식 받침)과 잘려나간 찰주(擦柱:머리장식의 무게중심을 지탱하는 쇠꼬챙이)가 남아있다.
짜임새있는 구조와 아름다운 비례를 보여주고 있어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경에 세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주 부근에서는 보기 드문 5층석탑으로, 탑이 지니고 있는 듬직한 위엄에 순백의 화강암이 가져다주는 청신한 기품이 잘 어우러져 있다. 높은 산골짜기에 우뚝 솟은 거대한 모습에서 주위를 압도하는 당당함이 어난다.2017.09.15.KBS 아침이 좋다에서 방송됨
https://youtu.be/idd1hWiqPq8?t=171
'문화재 > 내가 본 국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첨성대 (慶州 瞻星臺)-국보 제31호 (0) 2013.03.10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慶州 太宗武烈王陵碑)-Stele of King Muyeol, Gyeongju-국보 제25호 (0) 2013.03.09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慶州 芬皇寺 模塼石塔)-국보 제30호 (0) 2013.03.08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Three-story Stone Pagoda at Hwangboksa Temple Site, Gyeongju-국보 제37호 (0) 2013.03.08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平昌 月精寺 石造菩薩坐像)-Stone Seated Bodhisattva of Woljeongsa Temple, Pyeongchang-국보 제48-2호 (0) 201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