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淸道 雲門寺 石造四天王像)-Stone Reliefs of Four Guardian Kings at Unmunsa Temple, Cheongdo-보물 제31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21. 4. 19. 16:28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기타 수량 4기 지정(등록)일 1963.01.21 소재지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운문사 (신원리) 시대 통일신라시대 소유자 운문사 관리자 운문사 사천왕석주는 운문사 작압전(鵲鴨殿)안에 모셔진 석조여래좌상(보물 제317호)의 좌우에 각각 2기씩 모두 4개가 돌기둥처럼 배치되어 있다. 원래의 위치는 아니고, 이곳에 세워진 벽돌탑의 1층 탑신 몸돌 4면에 모셔져 있던 것으로 보인다. 모두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으며, 머리 뒷쪽으로 둥근 광채를 띤 채 악귀를 발로 밟고 있다.
사천왕은 부처를 모시는 단의 사방을 지키기 위해 두는 방위신(方位神)의 성격을 띠는데, 동쪽이 지국천왕(持國天王), 서쪽이 광목천왕(廣目天王), 남쪽이 증장천왕(增長天王), 북쪽이 다문천왕(多聞天王)이다.
이 4개의 사천왕상 돌기둥은 신체가 큰 반면, 돋을새김을 뚜렷하게 하지 않아 양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체구도 약해보이고 얼굴 생김새도 부드러운 것으로 보아 시대가 내려가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880년에 만들어진 보조선사탑(普照禪師塔) 사천왕상이나 철감선사탑(澈鑑禪師塔) 사천왕상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띠주름도 굵어지는 등 형식화된 면이 있어서 8세기 석굴암의 사천왕상과 비교하여 시대적인 차이를 느낄 수 있다.
통일신라 후기 또는 후삼국시대인 900년경을 전후해 만들어진 작품으로 짐작된다.https://youtu.be/6_aYSkDBFsE?t=960
'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淸道 雲門寺 東·西 三層石塔)-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of Unmunsa Temple, Cheongdo-보물 제678호 (0) 2021.04.19 청도 운문사 석조여래좌상 (淸道 雲門寺 石造如來坐像)-Stone Seated Buddha of Unmunsa Temple, Cheongdo-보물 제317호 (0) 2021.04.19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보물 제316호 (0) 2021.04.19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大邱 桐華寺 地藏十王圖)-보물 제1773호 (0) 2021.03.24 강릉향교 명륜당 (江陵鄕校 明倫堂)-보물 제2088호 (0) 2021.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