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ong
-
안동 만휴정 원림 (安東 晩休亭 園林)Manhyujeong Garden, Andong-명승 제82호문화재/내가 본 명승 2024. 7. 16. 16:28
분류자연유산 / 명승 / 역사문화경관면적42,336㎡지정일2011.08.08소재지경북 안동시 길안면 묵계하리길 42, 등 (묵계리)시대-소유안동김씨정헌공파묵계문중 외 관리안동시 국가유산 설명 만휴정(晩休亭)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1431∼1517)이 은거하며 경영한 쌍청헌(雙淸軒) 터에 위치한 정자로, 영조 46년(1770) 동도(東道) 김덕일(金德一, 1734∼1794)이 중수하였다.안동 만휴정 원림은 만휴정과 정자 주변 계곡, 폭포 등의 산림경관이 조화를 이루는 명승이다. 명승 안동 만휴정 원림 (安東 晩休亭 園林) | 국가유산포털 | 국가유산 검색 (heritage.go.kr) 만휴정은 조선시대의 문신 김계행(金係行)이 노년에 고향인 안동 풍산을 떠나 독서와 사색을 위해 즐기기 지은 ..
-
안동 하회마을 옥연정사 (安東 河回마을 玉淵精舍)-Ogyeonjeongsa House in Hahoe Village, Andong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23. 11. 10. 09:23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면적 1필지/1,484㎡ 지정일 1979.01.26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솔밭길 86 (광덕리) 시대 조선 선조 20년(1587) 소유 류*** 관리 류*** 문화재 설명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유씨의 동족마을로 빼어난 자연경관과 민속·유교 전통을 잘 유지하고 있는 조선시대 양반촌이다. 이 집은 서애 유성룡(1542∼1607) 선생이 학문 연구와 제자를 키우기 위해 세운 것이다. 조선 선조 19년(1586)에 지었으며 하회마을 부용대 동쪽 강가에 자리잡고 있다. 크게 문간채, 안채, 별당채,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따로 떨어져 '一'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대문채는 앞면 6칸·옆면 1칸 크기로 뒷간과 광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安東 周下里 뚝香나무)-Chinese Juniper Tree of Juha-ri, Andong문화재/내가 본 천연기념물 2023. 10. 22. 13:19
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기념 수량 1주 지정일 1982.11.09 소재지 경북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 634외 1필 소유 이*** 관리 안동시 문화재 설명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재료로 쓰이거나 정원수, 공원수로 많이 심는 나무이다. 뚝향나무는 향나무와 비슷하지만 똑바로 자라지 않고 줄기와 가지가 비스듬히 자라다가 전체가 수평으로 자라는 것이 다르다. 안동 주하리의 뚝향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3.2m, 둘레 2.25m의 크기이며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막기위해 37개의 받침대를 세워서 관리하고 있다. 조선 세종(재위 1418∼1450) 때 선산부사를 지낸 ..
-
The world heritage historic village of korea Hahoe-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Hahoe Village, Andong-중요민속문화재 제122호문화재/내가 본 중요민속자료 2012. 11. 8. 17:02
Hahoe Village-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중요민속문화재 제122호 The world heritage historic village of korea Hahoe 종목 중요민속문화재 제 122 호 명칭 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마을 수량 1,343필지/7,200,660㎡ 지정일 1984.01.14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국유,사유 설명 이 집은 예천(醴泉) 용궁현감(龍宮縣監)을 역임한 유교목(柳敎睦)이 서기 1836년에 건축하여 대를 이어 살아오다가 1953년에 현소유자의 부친 유시익(柳時益)이 인수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당호(堂號)는 건물이 하회(河回)마을 동쪽에 있다하여 하동고택(河東古宅)이라 하였다. 남촌(南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