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전 (極樂殿)
-
제천 신륵사 극락전 (堤川 神勒寺 極樂殿)-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2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21. 2. 12. 17:11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수량 1동 지정(등록)일 1982.12.17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180 (덕산면) 소유자,관리자 신륵사 신륵사는 월악산 기슭에 있는 절로 신라 진평왕 4년(582) 아도가 지었다고 하나 연대가 확실하지 않다. 그 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원효가 고쳤다고 하며,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사명대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륵사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모시는 건물이다. 앞면 3칸·옆면 3칸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건물의 바깥쪽 벽에는 여래상을 그려 장엄하게 하였으며, 내부에는 ..
-
양산 통도사 극락전 (極樂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4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11. 13. 22:40
양산 통도사 극락전 (極樂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4호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4호 명칭 양산 통도사 극락전 (極樂殿)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불전 수량 1동 지정일 1981.12.21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시대 소유.관리 통도사 설명 통도사는 승주 송광사, 합천 해인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사찰중 하나로 경내는 크게 상로전, 중로전, 하로전으로 나뉜다. 극락전은 하로전의 중심건물인 영산전 동쪽에 있는데 고려 공민왕 18년(1369)에 성곡대사가 지었다고 전한다. 앞면 3칸·옆면 3칸으로 지붕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지붕을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내부에는 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