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衆圖
-
대구 동화사 대웅전 신중도 (大邱 桐華寺 大雄殿 神衆圖)-대구광역 시문화재자료 제48호문화재/내가 본 문화재자료 2016. 1. 25. 17:27
대구 동화사 대웅전 신중도 (大邱 桐華寺 大雄殿 神衆圖) -대구광역 시문화재자료 제48호 종목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8호 명칭 대구 동화사 대웅전 신중도 (大邱 桐華寺 大雄殿 神衆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불도 수량 1 폭 지정일 2012.01.30 소재지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 (도학동)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은해사 설명 고종 24(1887)년 화승(畵僧) 지한(智澣), 진철(震徹)에 의해 조성되었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기 위한 호법신중을 묘사한 것이다. 화기의 내용과 다른 불화작품을 통해 화승의 작품 활동과 계보, 그리고 화풍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특히 진철은 1896년 동화사 대웅전 아미타극락회상도를 제작하게 되어 동화사 내 화승의 작품활동과 계보, 화풍을 ..
-
봉은사판전신중도 (奉恩寺 板殿 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0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9. 6. 23:33
봉은사판전신중도 (奉恩寺 板殿 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0호 봉은사판전신중도 봉은사판전신중도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0호 명칭 봉은사판전신중도 (奉恩寺 板殿 神衆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수량 1 폭 지정일 2007.09.27 소재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봉은사 설명 현재 판전의 향 좌측 벽에 봉안되어 있는 신중도로서 1857년 판전 중단탱으로 조성되었다. 초의선사 의순(草衣禪師 意恂)이 증명으로 참여하였으며, 돈석(頓錫), 법유(法宥), 혜오(惠悟), □규(□奎), □일(□一), 석눌(錫訥) 등이 출초(出草)하고 금어(金魚) 비구(比丘) 선율(善律), 유진(有進), 법인(法仁), 진조(進浩) 등이 제작하였다. 현재 화기 앞부분이 떨어져 나가 정확한..
-
봉은사대웅전신중도 (奉恩寺 大雄殿 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9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1. 16:04
봉은사대웅전신중도 (奉恩寺 大雄殿 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9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29호 명칭 봉은사대웅전신중도 (奉恩寺 大雄殿 神衆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수량 1 폭 지정일 2007.09.27 소재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 봉은사 시대 소유.관리 대한불교조계종봉은사 설명 1844년(도광24) 7월 현왕도와 함께 조성, 봉안된 것으로 세로 200.5cm, 가로 245cm의 비단바탕에 그려졌는데 신중도로는 꽤 큰 편에 속한다. 화면의 위쪽에는 구곡병(九曲屛)을 두르고, 향 우측에는 위태천과 천룡팔부 등의 신장, 향 좌측에는 범천과 제석천을 비롯한 천부중을 배치하였다. 범천과 제석천은 네모난 신광을 두르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왼쪽에는 이마에 제3의 눈이 표현된 범천이 ..
-
지장사대웅전신중도 (地藏寺大雄殿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8호문화재/내가 본 시도유형문화재 2013. 2. 10. 12:01
지장사대웅전신중도 (地藏寺大雄殿神衆圖)-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8호 종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8호 명칭 지장사대웅전신중도 (地藏寺大雄殿神衆圖)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보살도 수량 1 폭 지정일 1999.05.19 소재지 서울 동작구 동작동 280 시대 조선시대 소유.관리 지장사 설명 지장사 대웅전에 보관되어 있는 불교그림으로, 인도의 재래적인 토속신인 신중을 그린 것이다. 비단 바탕에 적색과 녹색, 갈색을 주로 사용하여 채색하였으며, 크기는 가로 198㎝, 세로 149㎝ 이다. 화면에는 천룡과 범천, 제석 등을 중심으로 비교적 많은 권속들을 그려넣었는데, 좌우 대칭구도와 천룡과 제석 등이 이루는 역삼각형의 구도가 다소 복잡한 화면구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천녀들이 20여 종에 달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