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광사영산전후불탱.팔상탱 (松廣寺靈山殿後佛幀.八相幀)-보물 제1368호문화재/내가 본 보물 2017. 10. 17. 08:54
송광사영산전후불탱.팔상탱 (松廣寺靈山殿後佛幀.八相幀)
-보물 제1368호
종목
보물 제1368호
명칭
송광사영산전후불탱.팔상탱
(松廣寺靈山殿後佛幀.八相幀)
분류
유물 / 불교회화/ 탱화/ 불도
수량
9폭
지정일
2003.02.03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시대
조선시대
소유
송광사
관리자
송광사성보박물관
일반설명
송광사 영산전(보물 제303호)에 모셔져 있는 불화들로, 조선 영조 원년(1725)에 그려졌다. 석가가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영산회상을 그린 후불탱과, 석가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묘사한 팔상탱이다.
후불탱은 비록 규모는 작지만 일반적으로 석가후불화에서 보이는 불·보살과 제자 등의 교화성중 및 사천왕·팔부중 등 호법신들에 추가하여, 국왕과 대신같은 많은 청문성중을 비롯한 부처님께 법을 청하는 사리불(舍利佛)까지 등장시켜 놓았다.
팔상탱의 여덟 장면은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코끼리를 타고 사바세계로 내려오는 장면인 도솔래의상, 석가모니가 룸비니공원에서 마야부인의 옆구리를 통해 출생하는 모습을 그린 비람강생상, 태자가 성문 밖의 중생들의 고통을 관찰하고 인생무상을 느끼는 장면의 사문유관상,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출가하는 장면을 묘사한 유성출가상, 설산(雪山)에서 신선들과 수행하는 모습을 그린 설산수도상, 태자가 수행 중 온갖 유혹과 위협을 물리치는 수하항마상, 부처가 녹야원에서 최초로 설법하는 모습을 나타낸 녹원전법상, 부처가 쌍림수 아래에서 죽음에 이르는 모습을 표현한 쌍림열반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토색 바탕에 붉은색과 녹색을 많이 사용하고, 영산회도와 마찬가지로 전반에 걸쳐 칙칙한 갈색 분위기의 무거운 느낌을 준다.
후불탱은 영산전의 주불인 석가모니불의 후불화이면서도 다른 영산회도 및 기타 전각의 석가후불도와는 다르게 그림 하단부에 설법을 듣는 청중들과 사리불까지 배치시킴으로써 법화경 내용에 매우 충실한 대표적인 영산회도라는데 의의가 있다. 팔상도 또한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초기 팔상도의 경향을 띠고 있으며,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나무 표현기법과 여유로운 경물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어 당시 또는 앞선 시기 일반회화와의 관계까지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9폭 중 2폭'문화재 > 내가 본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보물 제1909호 (0) 2017.10.17 인천안목 목판-보물 제1911호 (0) 2017.10.17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복장유물 (順天 松廣寺 塑造 四天王像 腹藏遺物)-보물 제 1468호 (0) 2017.10.16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보물 제204호 (0) 2017.10.16 대반열반경소 권9~10 (大般涅槃經疏 券九~十)-보물 제90호 (0) 2017.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