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방풍은
    나의 식물이야기 2016. 7. 4. 19:44

    방풍은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국립표준식물목록구축시스템에서 방풍을 국명으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10종의 식물이 검색된다.



    [방풍]이 붙은 국명은 왜방풍,돌방풍,갯방풍,가는잎방풍,방풍 5종이다.

    [기름나물]이 붙은 국명은 산기름나물,털기름나물,갯기름나물 3종이다.

    나머지는 산미나리와 섬바디다.

    [방풍]이 붙은 5개의 방풍들도 Aegopodium (산미나리속)Carlesia (돌방풍속)Glehnia (갯방풍속)Libanotis (털기름나물속)Ledebouriella (방풍속)이 다르다.어참 이것들도 같은 속이 아니다.

    [기름나물]이 붙은 3개의 기름나물은 산기름나물과 갯기름나물은 Peucedanum (기름나물속)이고 털기름나물은 Libanotis (털기름나물속)이다.

    산미나리는 산미나리속이고 섬바디는 섬바디속이다.

    방풍속(Ledebouriella) 방풍은 하나뿐이다.


    식재의 재발견

    크기 높이 60~100cm
    학명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영양 성분 칼륨, 칼슘, β-카로틴


    http://100.daum.net/multimedia/68_11900012_i1.jpg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68XX11900012

    방풍은 예전에는 주로 약용식물로 사용했지만, 지금은 어린잎과 뿌리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건강 식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향긋하면서도 쌉싸름한 맛의 방풍잎은 최근 웰빙 먹거리가 화두에 오르면서 새로운 식재료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방풍은 원방풍, 갯방풍, 식방풍 총 3가지 종으로 나뉜다.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종은 식방풍으로 발한, 해열, 진통을 진정하는 효능이 있다. 폐를 맑게 해주는 갯방풍은 강원도 강릉 일대에서 많이 수확되고 있다.


    식재의 재발견에서는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갯기름나물을 방풍으로 보았다.


    익생양술대전

    분류 여러해살이풀(또는 세해살이풀)
    학명Ledebouriella seseloides
    분포지역 제주, 중부·북부 지방
    자생지역 건조한 모래흙으로 된 풀밭
    번식 실생·분주
    약효 뿌리
    생약명 방풍(防風)
    1m 정도
    미나릿과
    별칭 진방풍(眞防風)·산방풍(山防風)
    채취기간 10월~이듬해 4월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따뜻하며, 쓰고 맵다.
    독성여부 약간 있다.
    1회사용량 4~6g
    주의사항 약간의 독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동속약초 갯방풍·갯기름나물·기름나물의 뿌리


    http://100.daum.net/multimedia/56_12400400_i1.jpg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56XX12400400

    잎;뿌리에서 많은 뿌리잎이 모여난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3회 깃꼴겹잎으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선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약간 딱딱하다.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지는데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된다.

    꽃;7~8월에 흰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 겹산형 꽃차례로 많이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줄기 끝에서 5개 정도의 작은 꽃대가 갈라지며 꽃대마다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작은 꽃차례받침은 5~6개이며 댓잎피침형이다. 5개인 꽃잎은 안쪽으로 굽는다. 수술은 5개이고 황색 꽃밥이 달린다.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10월에 납작하고 넓은 타원형의 분과가 달려 익는데 한쪽이 납작한 씨를 결실한다. 어릴 때는 돌기가 있다.

    방풍나물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황백색의 방추형이다. 줄기는 하나이지만 밑에서 많은 가지를 내서 전체가 둥근 모양을 이루어 바람에 굴러다니면서 씨를 떨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체에 털이 없다. 씨에서 싹이 난 지 3년 만에 꽃이 피고 스러지는데 열매를 맺은 뒤에는 죽는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부드러운 어린잎은 식용하는데 옛날에는 어린 싹을 따서 죽에 섞어 먹기도 했다. 2년생 뿌리를 방풍이라 하며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대전에서는 Ledebouriella seseloides 방풍속 식물을 설명하였으나 정확히 방풍을 설명한 것은 아니다.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산형과(Apiaceae)
    학명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 Wolff
    본초명 관방풍(關防風, Guan-Fang-Feng), 방풍(防風, Fang-Feng), 원방풍(元防風, Yuan-Fang-Feng), 회운(茴蕓, Hui-Yun)
    별칭 개방풍, 중국방풍, 신방풍, 원방풍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약용식물로 각지에서 재배한다.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없다. 근생엽은 한군데서 모여나며 어긋나는 경생엽의 잎자루는 길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며 잎몸은 3회 우상복엽이다.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곧다. 7~8월에 개화하며 복산형꽃차례에 피는 꽃은 백색이다. 분과는 편평한 넓은 타원형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 전체가 구형이 된다. ‘털기름나물’과 달리 분과에 짧은 털이 있다. 어릴 때에는 식용하기도 한다.

    쌍자엽식물(dicotyledon), 이판화(polypetalous flower),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plant)


    http://100.daum.net/multimedia/49_11800380_i8.jpg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9XX1180038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분류 산형과
    성격 식물, 풀
    유형 동식물
    학명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WOLFF
    분야 과학/식물
    개화시기 7∼8월


    학명은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WOLFF이다. 높이는 1m에 달하고 가지가 많으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3회우상복엽(三回羽狀複葉)으로 어긋난다. 열편(裂片)은 선형(線形)으로 끝이 뾰족하고 굳으며 많은 근생엽이 한 군데에 총생한다. 꽃은 백색으로 7∼8월에 핀다.

    뿌리에는 해열·진통의 약리작용이 있어서 건조시켜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온화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달다. 감기로 전신에 통증이 있고 특히 관절과 근육에 동통이 심할 때 사용하면 열을 내려 주고 땀을 나게 하면서 통증을 가라앉힌다.

    평소 체질이 허약하여 편두통이 있고 어지러운 증상을 느끼는 사람에게 유효하며, 피부질환에 습진이 생기고 소양증(搔痒症)이 심할 때도 많이 쓰인다. 빈혈로 두통이 있을 때에는 쓰지 않고, 강황(薑黃)·여로(藜蘆)와의 배합도 꺼린다.

    대표적인 처방은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이 있다. 또, 옛날에는 어린싹을 따서 죽에 섞어 먹기도 하였다.

    http://100.daum.net/multimedia/14_P0001717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21805


    국립생물자원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목 > 미나리과 > 방풍속
    서식지 건조한 산지의 비탈, 석회암지대, 풀숲
    학명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 Wolff
    국내분포 중부 이북
    해외분포 몽골, 러시아(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동북부)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건조한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해외에는 몽골, 러시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뿌리는 굵으며 줄기는 곧추 자라고 높이 30-80c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잎은 모여 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2-3회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서 겹우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5-10개로 길이가 서로 다르고, 꽃싸개잎은 일찍 떨어진다. 작은꽃싸개잎은 3-5장, 피침형, 막질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분과,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등 쪽이 납작하다. 뿌리를 감기, 두통, 신경통 등에 약재로 쓴다.

    뿌리는 굵으며 줄기는 곧추 자라고 높이 30-80cm,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잎은 모여 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2-3회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털이 없다. 꽃은 흰색으로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서 겹우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5-10개로 길이가 서로 다르고, 꽃싸개잎은 일찍 떨어진다. 작은꽃싸개잎은 3-5장, 피침형, 막질이다. 열매는 분과,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등 쪽이 납작하고 길이 5-6mm, 폭 3mm쯤이다.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뿌리를 감기, 두통, 신경통 등에 쓴다.

    뿌리를 약용으로 재배하는데,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nb.)을 대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성 등, 2008).


    http://100.daum.net/multimedia/74_nibr_002460.jpg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74XXXXX53532


    민속특산식물사전

    분류 산형과(Umbelliferae)
    서식지 초원
    학명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Wolff
    본초명 방풍(防風)
    분포지역 한국(중, 북부),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삼년생 초본, 높이 1m
    잎은 호생, 3회우상복엽, 열편은 선형, 첨두
    꽃은 7~8월 백색 개화, 복산형화서
    꽃잎은 5개, 수술은 5개, 꽃밥은 황색
    열매는 분열과, 편평한 넓은 타원형

    약용 : (뿌리) 해열, 항염, 항궤양, 항균작용 등이 있다.

    휘발성 정유, mannitol, 다당류, 유기산 등이 들어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73XX26300416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국립생물자원관,민속특산식물사전은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Wolff을 학명으로 제시 방풍속 방풍을 설명했다.



    대한민국식재총람

    분류 농산물 〉 채소류 〉 산채류
    원산지 전남 여수/고흥, 경북 포항, 강원 강릉
    생산시기 상시 생산
    생산량 2013년 495톤(여수시), 2014년 90톤(강릉시)
    가공식품 장아찌

    요약 풍을 예방한다고 하여 이름이 지어진 방풍나물(갯기름나물)은 예전에는 주로 약용식물로 사용했으나 지금은 쌉싸름한 맛을 이용한 식재료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방풍은 원방풍, 갯방풍, 식방풍의 3가지 품종으로 나뉘며 식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식방풍은 발한, 해열, 진통의 효능이 있다. 방풍나물의 어린 순은 식감이 좋고 향긋한 맛을 지녀 나물로 조리해먹고, 뿌리는 진통, 발열, 두통, 신경마비 등을 완화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원산지 : 전남 여수/고흥, 경북 포항, 강원 강릉
    생산시기 : 상시 생산
    생산량 : 2013년 495톤(여수시), 2014년 90톤(강릉시)

    http://100.daum.net/multimedia/68_12300141_i1.jpg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68XX12300141


    대한민국식재총람에서는 방풍 학명을 제시하지 않았다.갯기름나물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http://www.theplantlist.org/tpl/record/tro-1702895에서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 Wolff is a synonym

    of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

    각사이트에 제신된 방풍 이미지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dtlInfo-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e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txt



    http://www.nibr.go.kr/species/home/main.jsp-국립생물자원관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9XX11800380-우리 주변식물 생태도감


    http://encykorea.aks.ac.kr/-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56XX12400400-익생양술대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68XX12300141-대한민국 식재총람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77XXXXX91495-향토음식목록




    이미지를 보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다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국립생물자원관,우리 주변식물생태도감의 이미지는 같은 것으로 보여지기는 하지만 타 이미지와는 다르다.

    이것도 학술적으로는 큰 오류가 아닌가? 어느쪽 이미지가 방풍속 방풍인가? 어렵다. 


    우리나라자원식물-강병화

    책에 있는 이미지로는 구별하기 힘들고


    우리나라자원식물-강병화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제시한 것과 같다.



    한국식물도감-이영노(1998)

    이 식물도감에는 이미지를 제시하지 않았다.


    학명은 지금의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제시된 학명을 이명으로 처리?

    Saposhnikovia seseloides (Hoffm.) kitagawa을 학명으로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방풍의 일본명 ボウフウ을 검색하면
    https://ja.wikipedia.org/wiki/%E3%83%9C%E3%82%A6%E3%83%95%E3%82%A6에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제시된 방풍의 학명(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 Wolff)대신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을 

    이 학명의 동의로
    1.Saposhnikovia seseloides auct.non (Hoffm.)Kitag.

    3.Ledebouriella seseloides auct. non (Hoffm.) H.Wolff

    4.Siler divaricatum (Turcz.) Benth. et Hook.f.

    4개의 학명을 그러나 국가표준식물목에 있는 학명과 같은 것은 없다.


    長命草라는 이름으로 널리-일본에서는


    http://www.azami.sakura.ne.jp/yasou/w/botanbofu.htm





    https://ja.wikipedia.org/wiki/%E3%83%95%E3%82%A1%E3%82%A4%E3%83%AB:%E3%82%A4%E3%83%96%E3%82%AD%E3%83%9C%E3%82%A6%E3%83%95%E3%82%A6_Libanotis_coreana.JPG

    일본에서도  혼돈인가? 이미지가 다르다.


    http://www.nature.go.kr/e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txt


    이것을 방풍으로 보아야하는데


    '나의 식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assula Americana 'Flame'   (0) 2016.10.26
    강황,울금  (0) 2016.10.25
    등골나물  (0) 2016.10.16
    멘티폴라모나르다-Monarda menthifola Graham  (0) 2015.12.04
    African violets  (0) 2015.11.10
Designed by Tistory.